가계자산의 70%가 부동산…노후에 '독'
2014-04-07 11:22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우리나라 가계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쏠려 있어 자산 구조를 다변화하지 않으면 노후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7일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자산 가운데 실물자산의 비중은 73.3%로 2억3856만원에 이른다.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67.8%로 지난해보다 1.9%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자산이 부동산에 묶여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부동산 자산 쏠림 현상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여실히 드러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2012년 기준)은 호주 61.3%, 유로존 58.3%, 영국 50.1%, 일본 40.9%, 미국 31.5% 등이다.
자산의 부동산 쏠림현상은 고도성장기 때와는 달리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난 지금은 잠재적인 위협요소가 되고 있어 우려된다.
LG경제연구원이 집계한 자료에서는 2000∼2007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연평균 6.6%(아파트는 9.3%) 증가해 소비자물가 상승률(3.1%)을 훨씬 웃돌았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08∼2013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연평균 2%(아파트는 2.6%)로 둔화했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였음을 고려하면 실질 매매가격은 더 크게 하락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60세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실질가격)은 2006년 2억7천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은퇴연령층의 보유자산 규모가 급감하면서 고령층의 소비성향도 떨어져 2008년 대비 2012년 소비성향(도시 2인이상 가구 기준)은 60대 가구에서 5.9%포인트, 70세 이상 가구에서 6.8%포인트가 각각 떨어졌다. 같은 기간 30대는 1.6%포인트 늘었다.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주택 가격은 더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고령층이 부동산을 금융자산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을 활성화해야 하며 범정부 차원에서 고령화 대책 컨트롤타워를 마련해 관련 법·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