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상실의 시대' 맞은 해외직구…변해야 산다
2014-03-11 13:50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최근 급속도로 덩치를 키워 온 해외직구 시장이 예상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
소비자단체와 소비자들로부터 반품의 어려움ㆍ관세 환급 등 갖가지 불만사항이 터져 나오며 이미지에 상당한 타격을 입은 것.
때문에 해외직구 업계가 완전히 새로운 마인드와 패러다임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반면 이러한 문제가 단기간 가파른 성장에 따른 성장통이자, 업계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만큼 어느정도의 시간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나오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직구 시장은 1조 1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2년 전인 2012년에 7500억원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성장속도가 상당하다. 같은 기간 해외 인터넷 쇼핑을 통한 특송화물 반입량도 1100만 건을 돌파했다.
실제로 이러한 성장세에 국내 유통시장에서는 해외직구를 병행수입과 함께 새로운 유통 패러다임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가격경쟁력과 다양성을 앞세워 승승장구 해 온 해외직구업계 이내 암초에 부딪혔다.
사업 초기부터 불거졌던 ASㆍ환불ㆍ교환 관련 불편 및 제약 외에도 해외 인터넷 쇼핑몰들의 취약한 정보보안, 복잡한 접근방식과 구매단계 등이 이내 문제로 부각됐다.
이에 국내 한 해외직구 업체 관계자는 "최근 불거진 문제들은 업계에서도 이미 인지하고 있었지만 발빠르게 대처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소비자 단체의 지적과 언론보도 이후 이들 문제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이 커지면서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영세ㆍ무등록 업체들의 잘못된 관행이 일을 더 키웠다"며 "다만 해외직구 시장이 배송대행과 구매대행으로 세분화되고 각 업체별로 소비자 정책과 지원이 다른데도,'해외직구'는 모두 부도덕하다는 인식이 퍼질까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해외직구로 발생 가능한 리스크들을 방지하기 위해 업체들이 대책을 마련할 수도 있지만, 정부차원에서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인 경우도 많다"며 "해외직구가 국내외 제품의 가격차 감소 등 긍정적인 역할도 수행하는 만큼, 정부가 최근 발표한 역직구 활성화 대책과 같은 지원책 마련도 검토해주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