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고양∼강남 삼성 먼저 건설
2014-02-28 14:00
예비타당성조사…송도∼청량리, 의정부∼금정은 계획 수정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정부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3개 노선 가운데 경기 고양 킨텍스∼서울 삼성역 노선부터 먼저 건설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A노선(킨텍스∼삼성역)만 비용대비 편익비율이 1 이상으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A노선은 경제성이 1.33이며 B노선(인천 송도∼서울 청량리)과 C노선(의정부∼군포 금정역)은 각각 0.33, 0.66으로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28일 기재부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통보받았다고 이날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A노선의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하고 B·C노선은 노선을 변경하는 등 사업계획을 수정해 다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할 예정이다.
정부는 애초 3개 노선 동시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이 방안의 경제성이 0.84에 그침에 따라 노선별로 분리해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해왔다.
광역급행철도는 지하 40∼50m에 건설된 터널 속을 최고 시속 180㎞, 역별 정차시간을 포함한 평균 시속 100㎞로 달린다.
평균 시속이 30∼40㎞ 수준인 기존 전철을 이용하면 킨텍스∼삼성역 구간 이동시간은 약 1시간 20분 걸리지만 광역급행철도가 건설되면 20분대로 단축된다.
A노선은 2017년께 착공해 2022년 완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양∼삼성 36.4㎞ 구간, 송도∼청량리 48.7㎞ 구간, 의정부∼금정 45.8㎞ 구간 등 3개 노선의 총사업비는 11조8000억원이다.
이 사업은 민자 51%를 투입하는 것을 전제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됐다.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B노선은 강남권 연결이 어렵고 기존 전철과 노선이 겹쳐 수요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C노선 역시 경원선 등과 노선이 중복되고 역 개수가 많아 건설·운영비가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B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청량리가 아닌 서울 잠실 쪽으로 노선을 변경하거나 경인선 선로를 함께 쓰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C노선은 서울 수서∼의정부 KTX 노선과 선로를 공용하는 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국토부는 건설·운영 주체를 비롯해 역 시설계획, 열차 운행계획, 요금, 개통시기 등 구체적 사항을 관련 부처,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다.
기본계획을 세우는 데는 1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B노선과 C노선을 다시 기획하고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데도 약 1년이 필요하다.
GTX는 2009년 경기도의 건의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년)'의 전반기 신규사업으로 포함됐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A노선(킨텍스∼삼성역)만 비용대비 편익비율이 1 이상으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A노선은 경제성이 1.33이며 B노선(인천 송도∼서울 청량리)과 C노선(의정부∼군포 금정역)은 각각 0.33, 0.66으로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28일 기재부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통보받았다고 이날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A노선의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하고 B·C노선은 노선을 변경하는 등 사업계획을 수정해 다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할 예정이다.
정부는 애초 3개 노선 동시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이 방안의 경제성이 0.84에 그침에 따라 노선별로 분리해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해왔다.
A노선은 2017년께 착공해 2022년 완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양∼삼성 36.4㎞ 구간, 송도∼청량리 48.7㎞ 구간, 의정부∼금정 45.8㎞ 구간 등 3개 노선의 총사업비는 11조8000억원이다.
이 사업은 민자 51%를 투입하는 것을 전제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됐다.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B노선은 강남권 연결이 어렵고 기존 전철과 노선이 겹쳐 수요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C노선 역시 경원선 등과 노선이 중복되고 역 개수가 많아 건설·운영비가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B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청량리가 아닌 서울 잠실 쪽으로 노선을 변경하거나 경인선 선로를 함께 쓰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C노선은 서울 수서∼의정부 KTX 노선과 선로를 공용하는 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국토부는 건설·운영 주체를 비롯해 역 시설계획, 열차 운행계획, 요금, 개통시기 등 구체적 사항을 관련 부처,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다.
기본계획을 세우는 데는 1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B노선과 C노선을 다시 기획하고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데도 약 1년이 필요하다.
GTX는 2009년 경기도의 건의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년)'의 전반기 신규사업으로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