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소호대출 경쟁에 불붙었다

2014-02-27 16:54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은행들이 소호(SOHO)와 같은 자영업자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대출을 억제하자 은행들이 소호대출로 방향을 틀었기 때문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소호 대출은 법인사업자가 아닌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대출로, 수익성 악화로 고심하고 있는 은행들의 대출처로 부상하고 있다.

현재 4개 시중은행의 소호대출은 100조원을 웃돌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대출 잔액 규모면에서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은행의 소호대출 잔액은 2012년 말 39조4000억원, 2013년 말 기준으로는 40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민은행의 경우 중소기업 대출 잔액에서 소호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에 육박해 소호대출에 대한 집중도도 높았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24조9851억원에서 27조7322억원으로 2조7471억원 늘었고,  우리은행 역시 20조8294억원이었던 대출잔액이 23조1781억원으로 증가했다.

하나은행의 경우 2012년 말 12조8056억원, 2013년 말 15조1700억원으로 1조3644억원 늘었다. 소호대출이 이처럼 증가세를 보인데에는 가계부채가 1000조원을 넘으면서 가계대출 영업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마땅히 여신을 늘릴 창구가 없는데다 소액이지만 중소기업 대출보다는 담보가 확실해 은행들이 개인사업자들을 새로운 대출처로 삼고 있다.

이같은 추세를 반영하듯 외환은행은 지난 23일 3000억원 한도 규모의 특판대출인 ‘소호 강호론’을 내놨다. 부동산을 담보로 부동산 감정금액의 최고 80%까지 대출받을 수 있고 업종에 상관없이 대출을 지원한다. 대출금리 면에서 영업점장의 금리감면 재량권을 2.9% 포인트까지 확대했다.

일부에서는 소호 대출의 상당부문이 부동산, 임대업. 도ㆍ소매업, 숙박ㆍ음식점업 등 경기민감업종에 치중해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 향후 부실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당국도 소호대출의 성격이 가계대출과 비슷하다고 판단해 특정업종에만 치우쳐 늘리지 않도록 지도하고 있다.

일례로 국민은행의 경우 올들어 소호대출이 소폭 줄었다. 대출 규모가 큰 부동산 임대업이나 숙박업 대신 제조업을 중심으로 대출을 늘렸기 때문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소호대출은 증가세를 목표로 잡고 있지만 생산과 고용효과를 위해 제조업 위주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잡아 소호만 놓고 보면 다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은행들은 무조건 소호대출을 제한한다면 되레 풍선효과로 자영업자들을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로 떠밀게 된다고 우려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되레 업종에 차별을 두고 소호대출을 규제하면 제1금융권에서 영세 자영업자들이 심사를 받고 돈을 빌릴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진다”며 “건전성이 악화되지 않는 선에서 지원토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의 1월 말 기준 소호대출은 23조3899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보다 2118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 1315억원, 신한은행 392억원으로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