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친환경 급식 축소 등 개선에…전남 '당황'

2014-01-20 08:50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서울시가 친환경 농산물 권장비율 등을 대폭 낮추는 등 학교급식 개선방안을 추진하자 친환경 농산물 납품 점유율 1위인 전남에 타격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19일 전남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신학기부터 초중학교 친환경 식재료 권장비율 축소, 납품 계약방법 변경 등을 결정했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70%, 중학교 60% 이상이던 친환경 농산물 사용권장 비율이 초·중학교 모두 50% 이상으로 낮춰졌다.

또한 공공기관인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의 수의계약 범위를 기존 20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낮추는 대신 민간업체 수의계약 한도를 5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높여 공공 조달과 사적 조달을 동일한 수준으로 맞췄다.

또 1000만∼5000만원까지는 지정업체만 참여하는 견적 입찰을, 5000만원 이상은 무조건 경쟁입찰을 하도록 했다.

이는 납품 업체 선정에 학교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재정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지만 당장 권장비율이 준 만큼 전남지역 친환경 농산물의 서울 입성에 차질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전남도는 점유율 50%를 넘는 친환경 쌀은 당장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과채류는 경쟁이 불가피, 납품이 크게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친환경 농축산물 급식지원 예산을 포함한 무상급식 예산을 지난해 874억원에서 올해 399억원으로 46% 가량 줄이는 대신 나머지 감액분은 기초단체에서 충당토록 해 친환경 식재료 수요가 줄 우려가 높다.

이에 전남도는 전남도지사 명의로 지난해말 서울시교육청에 협조공문을 보낸 데 이어 농림축산식품부, 교육부에도 친환경 농산물 구매 확대를 공식 건의했다.

이를 통해 전남의 무농약이상 친환경 인증면적이 7만5900㏊로 전국의 60%를 차지하고 전국 12대 고품질 브랜드쌀 가운데 절반이 전남산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성장기 아동들의 신체발달과 도농 상생 차원에서도 친환경 농산물 사용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학교장과 영양교사 등 학교급식 관계자 초청 체험행사도 지난해 3차례에서 올해는 6차례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전남도 식품유통과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도의 정책 변화로 전남 농산물의 판로가 좁아질까 걱정이지만, 일단 방학이라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당장은 입찰 가능한 업체를 최대한 발굴하고, 110명으로 납품 전담반을 꾸려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