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과도기’…업무공백·구조조정 가시화
2014-01-08 16:51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 경남은행의 모 지점 김모 직원(38)은 하루에도 수 십통씩 전화를 받는다. 주로 ‘경남은행이 팔린다는데 거래를 계속 해도 되느냐’, ‘경남도에서 도금고를 뺀다는데 내 적금에 문제는 없느냐’ 등의 문의 전화다.
김씨는 '매각 되더라도 투 뱅크체제로 진행될 계획이고 고객들의 예ㆍ적금 등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업무의 집중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처럼 우리금융지주 계열사 직원들이 그룹의 민영화 작업이 본격화 되면서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 매각 작업이 진행되면서 신상품 출시는 물론 기존 업무에도 집중력이 떨어지고 있다.
8일 금융권에서는 우리금융 계열사 14개 중 8개사가 새주인을 찾게 되면서 우리금융 민영화가 5부 능선을 넘었다는고 평가가 나오고 있다. 과거 정부에서 3차례나 실패한 것을 감안하면 급진전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같은 민영화 과정에도 임직원을 비롯한 직원들의 마음은 편치 않다. 민영화가 진행되다보니 주요 사업진척이 극히 저조하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우리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의 반토막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실제로 우리금융 지난해 순이익은 7800억원 선으로 전년 대비 56.6%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우리금융의 실적이 유독 부진했던 것도 매각을 앞두고 잠재 부실을 최대한 많이 떨어내 매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미 매각이 결정난 계열사의 직원들은 복잡한 심경이다. 매각을 위해 각 조직이 통폐합되는 만큼 일부 조직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우리아비바생명의 경우 지점장 회의에서 구조조정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며 명예퇴직을 대비하자는 얘기가 나왔다.
지역 환원 문제로 매각 추진 때부터 파열음을 냈던 경남은행은 더 심각하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BS금융지주(부산은행)와 합병되면 영업권역이 겹치는 점포는 폐쇄될 것이라는 걱정에서다. 금융권에서는 이들 은행의 중복점포 수를 20여개 안팎으로 보고 있다. 현재 경남은행의 지점 수가 162개임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숫자다.
성세환 BS금융 회장이 “원칙적으로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하지 않고 부산은행 지점과 경남은행 본점 그리고 명칭은 그대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경남은행 노동조합은 BS금융의 실사작업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다.
일부 계열사의 인력난도 문제다. 지난해 4월 분사한 우리카드의 경우 다른 카드사 인원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300명 대로 인원이 극히 부족하지만 신입사원 채용을 못하고 있다.
우리카드는 지난해 5월 경력직 공채 모집공고를 냈지만, 당시 최고경영진(CEO) 인선과 맞물리면서 신압사업 채용이 유야무야 됐다. 당장 올 상반기에도 채용계획은 없다. KB카드 등이 신입공채를 진행하는 것과는 다른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