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 공사 54일째, 공사 진행 '순풍'
2013-11-24 14:00
-24일 공사 현장 총 16곳으로 확대…밀양시 4개 면 전체 송전탑 52기의 30.1% 해당
-육로 운반이 불가능한 공사 현장도 기초 공사 완료…반대대책위 등 송전탑 반대 활동도 계속돼
-육로 운반이 불가능한 공사 현장도 기초 공사 완료…반대대책위 등 송전탑 반대 활동도 계속돼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공사 재개 54일째를 맞은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이 최근 속도를 올리고 있다.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공사를 16곳을 확대하는 등 공사 진행속도에 탄력을 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밀양 송전탑 건설공사와 관련한 보상안에 있어서도 대상 마을의 주민들과 합의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는 양상이다.
24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최근 단장면 고례리 81번과 구천리 87호 공사현장 두 곳을 추가해 공사에 들어가 밀양지역 송전탑 공사 현장이 총 16곳으로 늘었다.
한전은 지난달 2일 단장면 부북 상동면 등 3개면 5곳(84, 89, 95, 109, 126호)에서 공사를 재개한 뒤 같은달 14일에는 3곳(85, 86, 125호), 17일 1곳(88호), 21일 1곳(82호) 등 10월에만 4차례에 걸쳐 공사개소를 확대했다. 이달 들어서는 5일 1곳(123호), 6일 2곳(96, 122호), 21일 2곳(81, 87호)으로 총 7차례에 걸쳐 공사 현장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면별로는 단장면 10(81·82·84·85·86·87·88·89·95·96번)곳으로 공사 진행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육로 운반이 불가능한 상동면 5(109·110·122·123·125·126번)곳과 부북면 1(126번)곳도 공사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반대 주민들과의 갈등에 불구하고, 두 달 사이에 현재 밀양시 4개 면 전체 송전탑 52기의 30%에 해당하는 속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앞서 밀양의 송전선로는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경남 양산시·밀양시·창녕군 등 5개 시·군 90.5㎞에 걸쳐 있으며 총 161기의 송전탑 건설이 예정됐다. 이 가운데 109기는 설치가 완료됐으나 밀양지역에 세우기로 한 52기는 그간 해당 지역 주민의 반대로 공사에 난항을 겪어왔다.
이처럼 한전과 밀양 주민 간 송전탑 갈등은 지난 2008년 7월부터 수면위로 떠올랐으며 이미 숱한 중재 노력이 진행됐다. 8년간 국민권익위원회가 23차례 갈등조정위원회를 열고, 전력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이 밀양을 방문해 수차례 대화 자리를 마련했지만 주민들은 대립각을 세우며 오직 반대만을 외쳤다.
이후 밀양 송전탑 대안을 검토해온 전문가협의체가 송전탑을 기존 방안대로 건설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오히려 지자체 및 외부단체 개입 등으로 갈등이 확산될 뿐이었다.
하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현재 포화상태인 우리나라 송전설비와 향후 추가 발전설비 계획이 없다는 점에서 밀양 송전탑 건설은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였다. 송전선로 건설 지연으로 신고리 3호기 발전력을 계통에 연결하지 못할 경우 전력수급 불안 가중 및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조환익 한전 사장은 밀양특별대책본부 운영 및 국회토론회(6회)를 개최하는 등 주민들과의 대화를 끊임었이 시도했다. 조 사장은 10회에 걸쳐 밀양현장을 방문하면서 8개마을 합의 도출 및 전향적인 특별지원안 제시 등에 나섰다.
그 결과 송전탑 건설 반대의 한 축이었던 단장면 동화전마을의 다수 가구가 최근 한전의 보상안에 합의하는 진척을 보였다. 현재 밀양시 5개 면 30개 마을 가운데 21개 마을(70%)이 보상안에 합의했다.
한전 관계자는 “지속적인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이달 안으로 한두 개 마을이 추가로 보상안에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며 “조만간 81번과 부북면 위양리 126번 송전탑 현장도 지하 기초 공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차례로 철탑 조립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밀양시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오는 30일 시민단체 회원 등 많은 시민들과 함께 한전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공사 중단을 촉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