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낙동강 녹조…"4대강 보의 부분적 영향있다"
2013-08-06 16:06
-낙동강 중·하류 구간 녹조 확산 직접적 관계 없어<br/>-"부분적으로는 영향이 있다"
낙동강 녹조 [사진=YTN뉴스 방송 캡쳐] |
환경부는 6일 브리핑을 통해 낙동강 중·하류 구간 녹조 확산이 4대강 보와 직접적 관계가 없지만 부분적으로는 영향이 있다고 밝혔다.
낙동강 수계는 중·하류 전 구간에 걸쳐 녹조현상이 발생하는 등 확산되는 상황이다. 특히 장마가 끝난 이달부터는 본격적인 무더위로 인한 낙동강 녹조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게 정부와 환경단체 측의 공통된 분석이다.
현재 한강, 금강, 영산강 수계에는 녹조현상이 미미하나 금강·영산강 하류도 녹조 발생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정부는 낙동강 하류 창녕함안보에 첫 ‘조류경보(남조류 세포수 5000cell/mL 이상)’를 발령했고 중·하류 5개보 구간에서 5000∼17000cell/mL 이상의 남조류 세포수를 측정했다. 우선 9개 정수장에서의 수돗물 공급이 안전하다는 결론이다.
또 낙동강 본류 21개소 정수장 중 17개소는 고도처리나 강변여과로 정수처리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일반정수처리시설 4개소도 복류수 취수, 입상활성탄 여과 등 보완대책을 시행하고 있는 만큼 안정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낙동강 물을 직접 상수원수로 취수하는 3개 보 구간은 남조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천수, 원수, 정수 모두 독성물질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는 게 환경부 측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인근 주민들과 환경단체는 수돗물 공급원까지 녹조가 확대되면서 수질에 대한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녹조로 인한 환경파괴 주범을 4대강 사업에 따른 후유증으로 보는 이가 적지 않다.
한 환경단체 전문가는 “4대강 보안에 물이 체류하면 부영양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환경부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조류농도 등 수질관리 기준은 무시한 체 일반하천 기준인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을 적용한 이유와 책임을 물어야한다”고 지적했다.
정진섭 환경부 수질관리과장은 “4대강 사업이 공사 중일 때에는 탁수로 인해서 조류의 문제가 없었다. 4대강 보와 직접적 관계가 없지만 부분적으로는 영향이 있다”면서 “현재 환경부가 모든 걸 완전하게 관리할 수 없고 필요한 지역과 부분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