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하반기 경제성장률 더욱 둔화 전망
2013-07-15 14:11
아주경제 베이징 특파원 조용성 기자 = 미국과 일본의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지속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7.5%로 1분기의 7.7%에 비해 0.2% 포인트 하락했지만, 중국 정부가 지속적인 구조조정 정책을 쓸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하반기 성장률은 더욱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중국의 GDP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8.1%, 2분기 7.6%, 3분기 7.4%, 4분기 7.9%를 기록했다. 국내외 수요 감소로 지난해 연간 성장률이 7.8%로 1999년(7.6%) 이후 처음으로 8% 밑으로 떨어졌지만, 지난해 4분기를 기점으로 중국경제가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일었었다. 하지만 올해 역시 7%대의 성장을 보이며 중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2분기 성장률 하락은 크게 두가지 요인으로 분석된다. 첫째는 수출부진이다. 일본과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지난 6월 수출이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3.1%라는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0.1로 전월의 50.8에 비해 0.7 포인트 낮아져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두번째는 리커창(李克强) 총리의 '리코노믹스(Likonomics)'로 대변되는 중국의 구조조정 정책이다. 리코노믹스는 단기적인 성장률 둔화에 연연하지 않고, 지방정부 부채나 '그림자 금융'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구조조정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게 골자다. 특히 리 총리는 부동산대출을 줄이고, 지방정부 부채를 엄격히 관리하며, '량가오이성(兩高一剩, 오염배출과 에너지소모가 높으면서 공급과잉인 업종의 기업들을 칭하는 말)'에 대한 구조조정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지난달 일시적으로 빚어졌던 금융경색 역시 리커창 총리가 리코노믹스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금융권에 명확히 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때문에 하반기부터는 금융권이 자체적으로 자금운용을 긴축운용할 것이며, 이로 인한 실물경제의 타격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국의 경착륙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예상이다. 중국 국무원은 올해 성장률 목표를 7.5%로 계획했다.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7.6%였으며, 풍족한 재정을 바탕으로 언제든지 부양책을 쓸 수 있는 만큼, 하반기에 추가적인 성장률 둔화가 있더라도 연간 성장률 7.5%를 충분히 맞춰낼 수 있다는 것.
리커창 총리 역시 최근 경제 성장률의 하한선을 지켜 지나친 하락을 막겠다고 밝힌데 이어 지난주 광시(廣西)자치구를 순시하는 자리에서도 안정성장과 구조조정, 개혁 추진 등을 거듭 강조했다. 러우지웨이(樓繼偉) 재정부장도 이달 미국에서 열린 미중 전략경제대화에 참석,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구조개선 작업은 성과를 내고 있다”며 “중국 경제가 경착륙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성장률이 하한선을 하회한다면 언제든지 경기부양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난카이(南開)대학의 경제연구소 소장인 류신(柳欣)은 “중국 기업들의 이윤이 낮아지고 있으며 수입분배구조가 계속 악화되고 있는 등 중국경제가 쇠퇴기조를 보이고 있다”며 “도시화와 산업업그레이드를 지속해 목표성장률인 7.5%를 지켜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칭화(淸華)대 중국과세계경제연구센터의 리다오쿠이(李稻葵) 주임도 “하반기에는 정부의 정책 조정과 개혁 조치가 나오면서 경제가 반등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기 기사]
- ▶<단독> 서울시, SH공사 집단에너지 부가세 2400억원 떠 맡나
- ▶휴 잭맨, 빠듯한 일정 속 '스타킹' 출연…몸짱비결 공개 한다
- ▶박희영, 매뉴라이프클래식 우승…투어 2승째
- ▶전기차 시대 본격 시작…첫 준중형 판매 가격은?
- ▶중국인 6억명 수명 단축…그 이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