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방내리에서 영남지방 최대의 기와가마군 발견
2013-06-18 16:50
C구역 기와가마 전경 및 세부위치. [사진제공=경주시] |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영남문화재연구원(원장 박승규)은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경주시 건천읍 방내리 일대의 경주 동해남부선 연결선 건설 공사 구간에서 고려∼조선시대의 대규모 기와가마군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와 관련 현장설명회(공개)를 이날 오후 2시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했다.
현재 철도노선과 관련한 공사 구간에서 확인된 기와가마는 28기이며 주변으로 많은 수의 기와가마가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현지조사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
발굴조사단에 따르면 이 일대는 영남지방 최대의 고려~조선시대의 기와를 생산한 대규모 가마군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와가마와 관련한 수비장(흙을 정제하여 점토를 얻어내는 장소)이나 채토장(가마의 천장이나 기와를 만들 때 사용하기 위해 흙을 채취하는 장소)으로 추정되는 수혈(구덩이)과 구(도랑) 등의 유구도 다수 확인됐다.
가마는 출토유물과 구조를 분석한 결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그 조업시점이 구분된다.
또한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평면형태가 장방형인 반지하식의 등요(언덕의 경사면에 터널형으로 길게 설치한 오름가마)로, 전체 길이는 11m 정도이고, 최대너비는 2∼3m에 달하는 대형 가마이다.
전반적으로 연소실이 수직연소식(아궁이가 아래로 뚫려 있지 않아 땔감을 위에서 아래로 던져 넣어야 하는 구조)이고, 소성실이 2개로 구분되는 구조가 확인되기 때문에 조업기간이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은 12세기 이후 유행하는 일휘문(반구형의 돌기문양) 암막새와 조선 전기대로 편년되는 범자문 수막새, 명문이 찍힌 우설형 수막새 등의 막새류와 직선계 삼각집선문, 곡선계 호상집선문 등이 타날(두드려 날을 찍은 것) 된 평기와가 주를 이룬다.
또한 기와가마 소성실에서 기벽이 두꺼운 사찰용(사찰에서 쓰인 제사용기로 추정, 미정) 제사 토기가 1∼2점 확인되는 것도 특징적이다.
발굴 관계자는 "고려 이전부터 조선 전기대까지 오랜 기간 동일 능선에서 조업이 이루어져 해당시기 가마 구조의 변천 및 조업방식 변화 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일부 자료이지만 가마 내부에서 기와가 적재된 상태로 확인되어 조업 당시 기와의 적재방식 추정과 옛 기록(조선시대 화성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책)에 남아있는 1회 기와 조업량과의 비교 자료로도 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