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발기자[부동산]: 행복주택, 정말 행복할까?
2013-06-18 15:23
글로발기자[부동산]: 행복주택, 정말 행복할까?
아주경제 이수연, 양아름, 정수영= 앵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였던 “행복주택”! 현재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검색 순위 1위에 오르는 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이름이 ‘행복’이라, 정말 이 주택에 살면 행복해져야 할 것 같은데, 오늘 행복주택의 허와 실, 문제점은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죠.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나왔습니다.
앵커: 정부가 올해 행복주택 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는데, 어느 지역이죠?
기자: 네. 정부가 공개한 7개 시범지구는 서울 구로구 오류동역과 서대문구 가좌역, 노원구 공릉동 경춘선 폐지부지, 경기도 안산 고잔역 등 4개 철도부지와 서울 목동·잠실·송파 탄천 등 유수지 3개 지역이다. 서울이 6곳, 경기도가 1곳입니다.
기자: 네 맞습니다. 국토부는 시범지구 7곳에 대해 이르면 7월 말까지 지구 지정과 지구계획 수립을 마치고 올해 안에 사업승인까지 끝낼 방침입니다. 또 오류·가좌·공릉지구 3곳은 연내 착공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임대주택 공급은 이르면 2016년부터 시작됩니다.
앵커: 그런데 이게 임대주택인데, 특별히 행복이란 단어를 쓴 이유가 뭐죠?
앵커: 행복주택이 지하철역 위에 들어선다면 교통걱정은 안 해도 되겠네요. 그런데 지금 얘기가 나오는 것이 지하철역 위는 소음문제가 있고, 유수지는 악취가 심할 것이란 우려가 있거든요?
기자: 네. 가장 많이들 걱정하는 부분이 그 문제인데요. 정부는 기술적 요소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미 주민들이 살고 있는 서울 양천구 신정동 양천아파트의 경우 그렇게 시끄럽지 않다는 게 주민들 반응입니다. 유수지 악취 문제는 덮개죠. 데크를 위에 씌우기 때문에 그 부분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일본은 이미 이런 방법을 써서 악취문제를 해결했다고 합니다.
앵커: 정부가 건축비를 좀 더 들여서라도, 살기 좋은 임대주택을 마련하면 좋겠습니다. 행복주택은 서민층에게 좀 더 현실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맞춤형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인데, 수요 대상과 임대료 결정됐나요?
기자: 최종 확정은 10월 사업계획승인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단 윤곽은 잡혔습니다. 수요대상은 전체 물량의 60%를 지방에서 올라온 저소득층 대학생 자녀나 신혼부부, 사회초년병 등 젊은층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50~60%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잠실이나 목동 같은 경우 현재 민간임대인 원룸주택의 임대료가 보증금 1000만원에 월 60만~70만 원 정도이거든요. 여기에 절반이면 약 30만~40만 원 정도가 되는 셈인데요. 대상이 되면 큰 수혜를 입게 되는 것이죠.
앵커: 주변 시세의 절반가량이면, 수혜 대상들에게는 희소식인데, 임대주택 사업자들은 타격이 좀 크겠네요?
기자: 아마 그럴 것 같습니다. 도시형생활주택이나 소형 오피스텔은 행복주택과 경쟁을 하게 될 테니까요. 특히 임대료 비교는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려면 정부가 민간임대 수요자와 겹치지 않게 대상을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또 얘기가 나오는 것은 목동이나 잠실 같은 지역에선 임대주택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한다는 것 같은데요?
기자: 네. 중산층들이 많이 사는 곳에선 자녀들을 함께 키우고 싶어 하지 않는 심리가 좀 있거든요. 임대주택이 들어서면 집값이 떨어진다고 걱정하는 분들도 있고요. 일단 그 부분은 함께 사는 사회라는 인식의 폭을 넓히고 포용하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겠고요. 정부도 개인의 재산권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계획단계부터 고민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네. 내 뒷마당에는 안 된다는 님비 현상의 연장인 것 같은데, 임대주택이 쓰레기매립장이나 발전소 같은 혐오ㆍ위험시설이 아니잖아요. 우리의 인식을 바꾸는 게 먼저이겠죠. 행복주택, 이름만 행복이 아니라, 정말로 서민들이 행복해질 수 있는 주택이 되길 기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