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모바일 정보화 수준 일반국민의 27.8%

2013-05-12 11:30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PC 기반의 기존 정보격차와 더불어 스마트 환경에서의 모바일 격차까지 종합적으로 조사한 2012년도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모바일 격차지수를 산출한 결과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의 27.8%로 PC 기반 정보화 수준 74%에 비해 낮았다.

모바일 격차지수는 모바일 접근격차의 비중을 0.2, 모바일 역량격차를 0.4, 모바일 활용격차를 0.4로 둬 이를 더한 값으로 모바일 기기의 보유정도, 사용능력, 활용정도 등에 의한 모바일 정보접근·역량·활용 수준의 총체적 차이를 의미한다.

소외계층별 일반국민 대비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저소득층이 46.1%, 장애인은 30.2%, 농어민 25.3%, 장노년층 22.2%로 이 가운데 저연령 및 학생 비율이 높은 저소득층의 모바일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외계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1.7%로 2011년의 8.6%에 비해 증가했으나 전체 국민 스마트폰 보유율 61.5%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으로 낮았다.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이 낮은 이유는 스마트폰 보유율이 낮아 무선 인터넷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는 능력과 실제 활용하는 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는 신 디지털 격차 발생의 핵심 요인인 모바일 격차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 보편적 모바일 접근환경 구축을 위해 소외계층 대상 스마트기기 보급, 모바일 앱 접근성 자동평가도구 개발 및 접근성 우수 모바일 앱 품질인증 100개 시범실시, 장애인 모바일 정보통신보조기기 개발지원 및 기기 보급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스마트 정보환경에서 다양한 가치창출에 필요한 모바일 역량을 높이기 위해 소외계층 모바일 활용교육 및 전문강사 양성,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찾아가는 SNS 교육과정 개설 등도 추진한다.

PC 기반의 기존 정보격차는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소외계층의 PC 기반 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의 74.0%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높아져 측정을 시작한 2004년의 45.0%에 비해 29.0%포인트가 상승했다.

소외계층의 가구 PC 보유율은 68.7%로 전체국민의 82.3%보다 13.6%포인트, 인터넷 이용률은 46.8%로 전체국민의 78.4%에 비해 31.6%포인트 낮았지만 격차는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가구 PC 보유율 격차는 15.5%포인트, 인터넷 이용률 격차는 13.7%포인트 줄었다.

정보격차해소사업의 정책성과를 점검하고 효과적인 정책 추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는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일반국민 4300명, 장애인·저소득·장노년·농어민의 4대 소외계층 각 3000명, 북한이탈주민·결혼이민여성의 신소외계층 각 600명 등 총 1만7500명을 대상으로 전문조사기관에 위탁해 대인면접조사를 거쳐 지수를 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