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4050세대 조기퇴직, 가계소득·국가재정에도 손해"
2012-12-26 18:26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40~50대 화이트칼라(사무직) 노동자의 조기퇴직 압박으로 가계소득과 국가재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6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중장년 화이트칼라 지속고용의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화이트칼라는 총 427만명으로 2000년 313만명보다 36.4% 증가했다. 특히 45세에서 59세에 해당하는 중장년층은 같은 기간 38만명에서 91만명으로 두 배 넘게 늘어났다.
중장년층 사무직 노동자 수는 증가한 반면 정년(停年)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가 자체 조사한 결과 화이트칼라의 체감 정년은 53.9세로 기업이 정한 평균 정년인 57.7세보다 3.8년 짧았다. 생산직 등 비(非)화이트칼라 직종의 체감 정년 55.7세와 비교해도 2년가량 빠르다.
이 보고서는 중장년 화이트칼라의 고용이 불안한 이유로 임금수준의 영향을 들었다. 이들의 평균월급은 젊은 층의 1.5배 수준인 453만6000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이 높아지고 업무 생산성이 떨어지는 점도 이들의 정년을 단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업 성장이 둔화하고 수평적인 조직구조가 확산되면서 중장년층을 배치할만한 관리자 직책은 2009년 15만2000개에서 2011년 14만개로 줄었다.
태원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장년 화이트칼라는 '4말5초(40대 말에서 50대 초반)'에 임원이 되지 못하면 회사를 떠나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들의 조기퇴직이 가계의 소득감소, 기업 현장의 노하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자녀교육과 결혼·주택대출 상환 등 소비지출이 최대에 다다르는 시점에서 조기퇴직으로 가계소득이 끊길 경우 자칫 사회·경제적 불안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들이 모두 53.9세에 실업급여를 신청한다고 가정할 경우 실업급여 예산이 현재보다 약 4608억원이 더 필요해 재정건전성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태 연구원은 "기업 입장에서도 중장년층의 경험과 노하우로 창의와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며 "이들 계층을 위해 △직종별 정년제와 임금피크제, 직무 재교육 강화 △근로시간 및 근무형태 유연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