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로비전도 보조금 경쟁 가세

2012-11-19 17:48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이통사의 보조금 경쟁에 알뜰폰 사업자인 CJ헬로비전이 뛰어들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일부 온라인 판매점은 CJ헬로비전의 헬로 모바일에서 스마트폰 옵티머스 태그를 번호이동으로 구매하고 24개월 약정으로 LTE 720 요금제를 쓰면 할부원금 없이 제공하고 있다.

베가R3의 경우 같은 조건으로 할부원금 37만원, 베가레이서2는 할부원금 4만원에 판매한다.

이같은 경우 보조금이 30만원 이상 적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보조금 경쟁에 CJ헬로비전이 뛰어든 것은 연말이 다가오면서 판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비 투입의 성격이 크다는 분석이다.

헬로비전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15만명을 넘어선 상태로 당초 연내 목표치의 50%를 넘겼을 뿐이다.

업계에서는 알뜰폰 사업자 중 보조금 경쟁에 뛰어들 수 있는 곳을 CJ헬로비전과 SK텔레콤의 자회사인 SK텔링크 정도로 보고 있다.

자금 여력에서 대기업 관련사만 대거 마케팅비 투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CJ헬로비전이 알뜰폰 사업에 진출할 때부터 경쟁상대를 기간 사업자들로 설정하고 실질적인 제4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상을 노리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었다.

한 통신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은 요금 경쟁을 하라는 취지로 시행되는 정책인데 보조금 경쟁에 가세할 경우 요금 인하 여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알뜰폰 업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보조금 단속이 기간 통신사 위주로 이뤄지면서 CJ헬로비전이 사각지대에서 마케팅비를 투입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알뜰폰도 법적으로는 같은 통신 사업자로 보조금 규제 대상이고 방통위가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기간 이통사와 같은 액수의 27만원 가이드라인을 적용할지는 검토 중이다.

알뜰폰의 보조금 투입이 통신 시장 과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방통위가 규제에 나설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관측이다.

합리적인 요금 경쟁을 위해 추진한 알뜰폰의 활성화를 위해 사업자의 자율을 어느 정도 허용해야 하지 않느냐는 주장도 있어 기간사업자와 같은 액수의 보조금 가이드라인으로 규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CJ헬로비전 관계자는 “기간 통신사처럼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 대대적인 마케팅 자체가 불가능하고 일부 온라인 판매점의 마케팅비 투입은 본사 차원이 아니다”라며 “본사는 건전한 이통 시장을 위해 정상에서 벗어난 마케팅을 추구하지 않고 있어 일부 유통점의 정도를 벗어난 판매는 모니터링을 통해 시정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기간 사업자의 보조금 과다 지급 조사 결과를 내달 초 전체회의에 올릴 예정이다.

이통 3사의 위법이 드러나면서 과징금과 3개월 이내의 신규가입자모집 정지 처분을 받게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영업정지는 순차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고 시기는 위원회 심결에 따라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방통위는 조사 결과에 대한 위원회 처분 결정까지 조사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