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통선지역 내 친환경농업으로 자연과 사람 함께해야

2012-02-06 09:45
경기도 민통선지역 산림면적 감소율, 도내 전체의 2.7배

(아주경제 최종복 기자) 군사시설, 농수로 정비, 도로확충 등의 인간 활동으로 훼손된 민통선지역. DMZ 생태계와 밀접한 이곳의 자연을 지키면서 지역주민이 생산 활동을 이어가기 위한 방안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박은진 연구위원은 (민통선지역 생태계 훼손요인 및 영향 저감방안)연구를 통해 보전가치가 높은 중요서식처 보전 등 민통선지역 생태계 훼손을 막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소개했다.

민통선지역에 거주하는 경기·강원도 주민은 DMZ 내부 대성동마을을 포함해 약 2천700명이다.
이 외에도 인근 주민들이 민통선지역을 출입하며 영농활동을 하고 있다. 경기도 민통선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람들의 출입과 이용이 낮아 적절한 강도의 농업활동이 이뤄진다. 따라서 전통적인 농경지 경관이 보전되고 하천과 습지, 개활지와 숲이 어우러진 생태계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지역은 또한 자연 스스로 복원하는 ‘천이’과정을 통해 농경지가 숲으로 바뀌면서 다양한 생물종이 공존한다.
특히, 서부 민통선지역은 논 습지와 둠벙, 자연 농·수로, 관목숲 등의 경관이 산림, 하천과 연결돼 양서·파충·곤충·조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민통선지역 주민들은 친환경 농업으로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생산 활동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숲과 습지를 농경지로 전환하고 자연 농로와 농수로 포장이 확대되면서 생태계 훼손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 20년 동안 경기도 민통선지역 산림면적 감소율은 약 20%로 경기도 전체 산림면적 감소율 7.5%에 비해 2.7배 높았다. 같은 기간 경기도 전체 농경지 면적이 약 15% 감소한 반면, 파주와 연천의 민통선지역 농경지 면적은 25% 증가했다.
특히, 민통선지역 내 인삼재배지가 급증하면서 생물종의 서식환경 뿐 아니라 경관도 해치고 있다. 파주와 연천에서 민통선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20% 이내지만 신규 인삼재배지 60% 이상이 민통선지역에 몰렸다.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던 농업활동이 이제 생태계를 훼손하는 수준으로 그 방식과 강도가 변화한 것이다.

박은진 연구위원은 DMZ와 민통선지역의 생태계와 주민 생산 활동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보전가치가 높은 서식처에 대한 조사와 지도 작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전할 가치가 큰 서식처가 어디에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생물다양성 관리계약 제도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농약사용량 감소, 무경운, 볏짚존치, 둠벙 및 습지 조성 등 친환경 농업 참여를 유도할 것을 권고했다. 계약을 충실히 수행한 주민들에게는 인센티브를 주고, 생산된 농산물에 대한 홍보와 판매처를 지원하는 전략도 제시했다.
인삼재배지와 같은 훼손지는 재배 전후에 토양환경을 관리하고 복원될 수 있도록, 재배지를 파악하고 저농약재배와 판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훼손지에 대한 복원사업은 생태계보전협력금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행정적 지원을 요구했다.
지역주민과 전 국민이 보전가치가 높은 서식처와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토지공유화 운동인 DMZ 트러스트의 활성화도 언급했다. DMZ에 대한 관심을 단순한 관광에서 벗어나 이 지역의 친환경적인 생산 및 보전 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DMZ 트러스트로 이끌자는 것이다.
박은진 연구위원은 “향후 DMZ 트러스트는 지역주민과 단체가 주도하는 보전활동과 생태관광이 결합되는 형태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와 홍보를 정책적으로 강화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