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 고공행진… 대출 부실화 우려 고조

2011-11-02 17:17
당국·업계 대출 옥죄기 부작용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가계대출 옥죄기에 나선 부작용으로 대출금리가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경제위기로 국내 경기 둔화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어 자칫 대출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5.81%였던 신규 신용대출 금리가 지난 9월 말 7.06%로 1.25%포인트 급등했다.

신용대출 금리가 7%대로 진입한 것은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말 7.48%를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이 포함된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2008년 이후 3년 만에 8%대로 뛰어 9월에는 8.27%를 기록했다.

총가계대출 평균금리는 지난해 말 5.35%에서 지난 9월 말 5.86%로 0.51%포인트 올랐다.

8월 말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627조원인 점을 감안하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9개월 새 3조2000억원 늘어난 것이다.
 
2009년 말 4.85%, 지난해 말 4.71%에 머물렀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올 들어 0.52%포인트 올라 지난 9월 말 기준 5.23%에 달하고 있다.

예컨데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 명목으로 1억원을 빌렸다면 52만원, 2억원을 빌린 경우 104만원의 이자가 추가된 셈이다.
 
대출금리가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는 이유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대출 증가세가 둔화되자 은행들이 금리 인상을 통해 손실을 보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9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62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문제는 은행들의 지나친 금리 인상이 가계대출 부실화가 촉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경제 불안으로 내년 국내 경기침체가 가시화활 가능성이 높아 이같은 우려를 키우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의 사무총장은 “대출금리의 고공행진 속에 경기 둔화 추세마저 가속화할 경우 가계대출 부실화는 불을 보듯 뻔한 일”이라며 “대출 부실화를 막는 예방적 차원에서라도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