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차이나드림 '독이 든 성배' 전락하나
2011-08-23 06:53
영업여건 악화·中당국 견제로 수익성 악화
(아주경제 이재호 김희준 이수경 기자) 중국 금융시장 자산 규모 17조6000억 달러. 어마어마한 덩치는 ‘신기루’에 불과했을까.
중국에 진출한 국내 은행들이 현지 영업여건 악화와 금융당국의 견제로 시장 공략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지 대형 은행과 글로벌 은행 등 ‘고래’ 싸움에 등터진 ‘새우’ 신세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국에 진출한 국내 은행들이 예대율 규제와 지급준비율 인상 등 악재가 잇따르면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내 현지법인을 보유한 우리·하나·신한·기업·외환은행 등은 올 연말까지 예대율을 75% 수준으로 맞춰야 한다.
대부분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낮췄지만 예금을 늘리기보다 기존 대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예대율 인하를 추진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은 “현지 자금조달과 고객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대율 규제를 준수하려다보니 기존 대출을 상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는 고객 이탈로 이어져 예금 유치가 더욱 어려워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물가 연착륙을 위해 지급준비율을 높이고 있는 것도 수신잔액이 턱없이 부족한 국내 은행 입장에서는 수익성 악화로 직결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신잔액 중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금액(지급준비금)이 많아질 경우 대출 재원 및 자산운용 투자금으로 활용할 금액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HSBC와 JP모건 등 글로벌 은행들은 이 같은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 선진 금융서비스 제공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수백건의 기업자금 결제를 한번에 처리하는 '대량자동결제(Mass Payment)' 서비스나, 대기업 내 자회사의 자금 수요를 미리 예측해 최적의 재무구조를 제시하는 '다중계좌잔액 통합관리(Pooling)'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 은행들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주어진 환경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우선 기업고객 중 국내 기업이 아닌 중국 기업 비중을 높이기 위해 기업금융 전담 인력(RM)을 현지인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른바 ‘꽌시문화(친분을 통해 사업적 이익을 얻는 사회적 현상)’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다.
중국 내 온라인 결제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호재다. 지난 4년간 전자결제시스템을 활용한 금융기관 간 거래는 3.4배, 개인 간 거래는 14.1배 급증했다.
최만규 우리은행 중국법인장은 “은행에 관계없이 돈을 송금 및 인출할 수 있는 타행환 공동 경제만이 조만간 도입되면 점포수가 적은 국내 은행들이 영업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그에 앞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