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당국 "외환보유고증가, 인플레와 무관해"

2011-07-29 13:44

(베이징=조용성 특파원) 중국외환관리국이 "높은 수준의 외환보유고가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은 아니다"는 입장을 냈다.

외환관리국은 29일 홈페이지에 올린 문답풀이를 통해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지난달 기준으로 3조2000억달러(약 3364조원) 규모로 집계됐으며 외환보유액은 물가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일부 경제 전문가들이 펼치고 있는“인민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해 새로 발행한 위안화로 외화를 환전하는 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졌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화폐경제학자인 중앙재경대학의 궈톈융(郭田勇) 교수는 "물가상승은 외환보유고와 일정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같은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은행 북경대표처의 한재현 부대표는 "중국은 기업들이 수출을 통해 달러를 벌어들이면 일정부분만을 제외한 전액을 은행에 매각하도록 해왔다"며 "이 달러는 인민은행으로 흡수되며 달러액에 상응하는 위안화가 시중에 풀려나간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외환관리국은 "중국의 물가상승은 원유, 철광석 등 국제 원자재가격의 상승에 의한 수입형 인플레이션으로 볼수 있다"며 "이에 더해 국내 토지가격과 임금이 상승하면서 물가상승이 더욱 가파라졌다"고 해석했다. 이어 외환관리국은 "외환 매입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은 인민은행이 은행의 지급준비율과 중앙은행의 채권 발행을 통해 흡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중앙은행은 5차례의 금리인상과 8차례 지급준비율을 인상했다. 하지만 중국국가통계국이 지난 9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은 지난달 6.4%에 달해 최근 3년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외환관리국은 "2011년부터는 기업들이 수출을 통해 얻은 달러화를 본국으로 송금하지 않고 외국에서 보유할 수 있도록 했다"며 "기업의 외화수익을 전액 은행에 매각해야 하는 강제규정은 현재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외환관리국은 "중국의 외환 보유고는 대규모 무역흑자와 자본 유입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며 "외환 보유고를 줄이려면 구조적인 측면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대규모의 외환보유고를 추구하지 않으며 국제수지의 장기적인 흑자 역시 추구하지도 않는다는 입장도 공식적으로 재확인했다.

끝으로 외환보유고 정보의 불투명성 논란에 대해서 외환관리국은“외환보유고의 높은 수익률을 위해서 보안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은 당연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