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공직자 출신 사외이사 39%로 증가
2011-07-22 07:11
‘거수기’ 비판을 받는 대기업 사외이사는 10명 중 4명꼴로 공직자 출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관예우 관행이 심한 공직사회 풍토를 고려하면 회사의 대정부 업무 등에 활용하려고 대기업이 공직자 출신을 사외이사로 선호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22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30대 그룹 1천140개 계열사의 6월 말 현재 799명의 사외이사 중 공무원 출신 인사가 지난해 256명보다 52명 늘어난 308명이었다. 전체 38.5%에 해당한다.
사외이사 중 공무원 출신 비중은 32.9%에서 38.5%로, 1년새 5.6%포인트 높아졌다.
판·검사 출신은 지난해 84명에서 올해 97명으로 13명 늘어났다. 이들의 비중은 10.8%에서 12.1%로, 1.3%포인트 높아졌다.
정부 장·차관 출신 인사는 37명에서 49명으로 12명 증가했다. 사외이사 영입 1순위로 선호되는 국세청 출신도 전년보다 12명 늘어난 46명으로 파악됐다.
대기업들의 국외 진출이 늘어난 영향인지 대사 등 외교통상부 출신이 3명에서 8명으로 급증한 점이 눈에 띈다.
부산저축은행 사태 등을 통해 온갖 비리가 드러난 감독기관 공직자의 사외이사 영입도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출신별로 보면 금감원이 8명에서 12명, 공정위가 11명에서 13명, 감사원은 8명에서 10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일반 기업체 임원이나 대학교수 등 비공무원 출신 사외이사는 지난해 522명에서 올해 491명으로 31명 줄었다.
기업체 CEO나 임원 출신이 244명에서 200명, 외국인이 24명에서 21명, 회계사가 13명에서 11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비공무원 출신 중에서는 은행원이 12명, 언론인이 1명 증가했다.
30대 그룹 전체 사외이사는 작년보다 21명 늘었다. 그러나 전체 1천140개 계열사 중 24.5%인 279곳에만 사외이사가 있었다.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이지수 변호사는 “교수, 전직관료, 법조인으로 요약될 만큼 사외이사 인력 풀이 너무 제한적이다. 전직 관료는 대정부 업무에 활용하려고 영입하고, 법조인은 높은 소송 비용을 고려한 로비스트 용도로 볼 수 있어 독립성을 지키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