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경제효과 256조…중형차 100만대 수출 효과

2011-05-17 14:57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가 대전을 중심으로 조성되면 앞으로 20년간 경제 효과가 256조원에 이를 것 이란 분석이다.

중형 자동차 1000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맞먹는 수준이다.

17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과학벨트 관련 보고서에 의하면 과학벨트가 구축되면 향후 20년간 국가적으로 최대 256조 5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최대 226만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낼 것이라고 예측했다.

해당 지역 경제에만 국한하면 20년간 생산 213조원, 부가가치 81조원, 고용 136만명으로 유추했다.

이는 우리나라를 6개 광역 경제권으로 나눠 충청권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한 결과다.

낙관적 시나리오를 가정했을 경우, 조성 및 성장단계 전반에 걸쳐 예상되는 정부와 민간을 합한 총 투자금액은 35조8000억원으로 예상했다.

지출에 따른 총 파급효과는 국민경제 차원에서 생산유발액 256조5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09조원, 고용유발인원은 225만8000명 규모로 추정됐다.

보수적 시나리오를 가정했을 경우에도 조성 및 성장단계 전반에 걸쳐 예상되는 총 투자금액은 정부와 민간 합해 28조5000억원에 달했다.

지출에 따른 총 파급효과는 전국적으로 생산유발액 207조5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86조9000억원, 고용유발인원은 177만5000명 규모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과학벨트가 대전 대덕지구를 중심으로 조성되면 기존의 대덕연구개발특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의 대학과 연계해 막대한 과학기술력 신장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대덕특구와의 협업 연구체제 형성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미래 신융합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해 큰 성과를 창출이 기대된다.

대덕특구는 29개 출연연과 8개 공공기관, 14개 국공립기관, 27개 기타 비영리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5개 대학(교), 1006개 기업체 등 모두 1089개 기관이 입주해 있는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허브'다.

하지만 이 같은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글로벌 선도과학자(Global Leading Scientists) 확보△△기초과학연구원과 기존 출연연들과의 차별화△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지역발전과의 연계△기초과학과 비즈니스의 연계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이 과학기술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정정훈 출연연구기관협의회장은 “과학벨트의 성공 여부는 중이온가속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우수한 기초과학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면서 “시설뿐 아니라 창의적인 연구 환경 조성도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기초과학학회협의체 등 과학기술계에서도 성명을 통해 “입지선정 과정은 과학벨트의 시작단계에 불과한 것으로 과학적 측면에서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등 과학벨트의 성공을 좌우할 과제들을 함께 헤쳐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치적 지역적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오직 과학기술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