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사는 지구촌을 위한 ‘공정여행’

2011-01-31 08:24

윤용환 문화·레저 부장
‘공정무역’은 지구 환경을 생각하면서 기업과 생산자, 그리고 소비자까지 다 같이 잘 먹고 잘 살자는 양심적 소비운동이다. 커피와 초콜릿에서 시작된 공정무역은 이제 전 세계의 그린아이콘이 됐다.

관광업계도 이와 비슷한 ‘공정여행’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대부분의 여행이 좀 더 편안함을 추구하는 소비위주였다면, 공정여행은 관광객과 관광지 원주민들이 ‘갑과 을’이라는 상하종속 개념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자’는 평등 개념이다. 예나 지금이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행이라면 좋은 시설에서 잘 먹고, 잘 쉬고, 잘 놀다 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서구문화 중심으로 발전한 여행 시스템은 지구촌 자연환경을 엄청나게 훼손했다. 고급 휴양시설인 리조트 건설을 위해 수십만 평의 맹그로브 숲이 사라졌다. 그 속에서 살아가던 동식물의 생존위기는 물론이고 원주민들의 생활환경 자체를 뒤바꿔버렸다.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문화적인 충격도 상상을 초월한다. 여행은 원주민들에게 이질적인 규칙과 라이프스타일을 강요해 ‘글로벌 문화’라는 틀로 균등화 시켰다.
원주민들이 불편을 감수하는 동안 외국 관광객의 관심과 경제적 바탕은 전통 문화를 위협했다. ‘문화적 타락’은 그 민족의 존재가치를 말살하게 됐다. 그들의 지역 축제나 행사, 그리고 수공예품들은 상업화됐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원주민들 자체가 관광 상품이며 생산품이다.
실제로 그들 사이에 오가는 것은 ‘문화적인 이해’가 아니라 관광객들의 ‘선입견’에 의한 인공적 이미지가 ‘문화’를 대표하게 됐다.
그러나 일부에서 시작한 공정여행은 이제 관광업계의 새로운 트렌드가 됐다.
공정여행이란 관광객들이 소비하는 비용을 원주민들에게 돌려주고, 그들의 문화와 인권을 존중해주며, 자연 환경을 생각하는 운동으로, ‘착한 여행’이라고도 부른다.

나름대로의 행동수칙도 있다.
환경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현지주민들의 식당이나 숙소를 이용해 실질적으로 원주민들의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비, 현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그 나라의 인사말 배우기 등 어떻게 보면 너무도 당연한 것이다.
공정여행은 새로운 형태의 상품이 아니다. 어떤 형태의 상품이든 이러한 원칙을 준수한다면 누구나 공정여행 마니아가 될 수 있다.

공정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또 다른 오해를 부르기도 한다. 첫 번째가 ‘공정여행은 고생’이라는 생각이다. 사람들은 “이런 여행은 너무 힘들잖아요. 여행은 당연히 즐거워야 하는 것 아닌가요”라고 반문한다. 그러나 고생스러운 경험이 공정여행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소비와 행동이 현지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거나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을 지켜주고 풍요롭게 해 주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착한 소비’다.

두 번째는 공정여행이 또 다른 형태의 관광 상품이라는 오해다. 공정여행은 여행상품이 아니라 우리가 여행 중 윤리적 가치를 실천한다는 일종의 행동 수칙이다. 공정여행은 과정(Process)이지 생산물(Product)이 아니다. 가치를 향한 나의 마음가짐이며, 실천의 원칙이 공정여행의 필요충분조건이 된다.

공정여행의 형태도 점점 발전을 거듭해 지구촌 환경보존에 중점을 둔 ‘에코투어리즘’과 ‘리얼리티 투어’로 발전하고 있다.
리얼리티 투어는 에코투어리즘의 장점을 녹이고, 지역과 사람이 어떻게 소통할 것인지 고민을 담고 있다. 결국, 자연생태계와 지역, 사람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고서는 해결될 수 없다. 여행이란 세계 사람들 간의 소통과 관계를 중심으로 ‘글로벌 익스체인지(Global Exchange)’다.

우리사회도 조금 늦었지만 제주도 올레길, 지리산 둘레길 등 자연과 함께 하는 트레킹 코스와 농어촌 체험마을 등 환경을 생각하는 착한 여행 상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더불어 살아가는 글로벌 사회를 위해 우리들의 관광인식 전환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