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특별기획] 르포-낙동강 합천보·함안보 공사현장을 가다.

2010-08-17 09:33

   
 낙동강살리기사업 18공구 함안보 공사현장. 보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던 함안보는 집중호우를 대비해 보와 준설 공사를 일시 중단했다.
 

[4대강 특별기획] 4대강, 지역의 미래를 연다
(상) 르포-낙동강 합천보. 함안보 현장을 가다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낙동강 최하단에 위치한 경남 창녕군 길곡면 오호리 제18공구 함안보 공사 현장. '언제 태풍이 왔었냐'는 듯 맑게 개인 하늘 아래로 강 안을 가득 메운 강물만이 태풍과 집중호우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지난 16일 찾은 이곳은 태풍과 집중호우가 막 끝난 뒤여서 보와 준설 공사는 일시 중단된 상태였다. 집중호우로 떠내려온 오물 수거 등 현장 관리 작업만 이뤄지고 있다.

함안보 위쪽에 위치한 낙동강 합천보 20공구. 이곳도 보와 준설공사는 중단됐지만 일부 작업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보 위로 물에 잠기지 않은 교량(공도교) 개설작업에 투입된 인부들의 손놀림이 부산하다.

현재 합천보가 들어서는 20공구는 전체 공정률이 33.1%, 보 공사가 37%로 계획보다 앞서가고 있다. 18공구인 함안보의 경우 한 차례 설계변경과 이번 환경단체 소속 회원들의 20일간 무단점거농성으로 계획보다는 늦어진 감이 있지만 전체 공정률은 31%, 보 공사는 36%에 이른다.

◆"집중호우, 설계부터 준비한 시나리오"

4대강이 찬성과 반대의 끊임없는 논란을 빚는 와중에 첫 태풍을 맞으면서 '4대강 현장 홍수 피해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특히 낙동강은 경남도지사가 아직까지 공사 계속진행 여부에 대한 입장을 공식화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이 보 건설을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낙동강 함안보와 합천보는 현장은 반대론자의 집중 타깃이 되고 있다.

이 두 곳은 여름 장마에 공사를 잠시 멈췄지만, 이는 설계부터 세웠던 계획인 만큼 공사현장 직원들에게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공사를 위해 물을 일시적으로 막는 가물막이 수문을 열어 물을 들어오게 한 뒤 물이 빠져나가면 현장 정리 후 다시 공사를 재개하도록 설계부터 맞춰져 있었다는 얘기다.

   
 합천보 공사현장.
 
20공구 합천보 공사를 맡고 있는 태아건설 김철세 현장소장은 "보 설계 당시부터 이미 10년간의 홍수데이타를 가지고 이 상황에 대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지금까지 4대강 준설작업 이후 하천 단면형상을 측량해 분석한 결과, 7월말 현재까지 전체 준설량의 26%인 1억3800만㎥의 토사를 준설함에 따라, 100년 빈도의 홍수량에 대해서 최대 1.7m까지 수위가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반대로 환경단체 등 반대론자들은 "강 둔치에 쌓아둔 흙과 모레 등의 준설토와 공사를 위해 임시로 쳐 놓은 거물막이가 강물의 흐름을 막아 홍수 위험이 증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재웅 한국수자원공사 경남2지구 건설단 단장은 "장마에 대비해 처음부터 충수(가물막이에 물을 채워 넣는 작업)를 계획해 놓은 것인데, 아무런 대비도 안하고 있다가 공사현장에 물이 넘쳐 공사를 중단한 것처럼 일부 언론에 비춰진 것은 많이 서운하다"고 말했다.

◆ "공사 중단하면 예전보다 더 나빠진다"

함안보와 합천보에 근무하는 한국수자원공사 직원들과 현장 관계자들은 잠시라도 이곳에서 눈을 뗄 수 없다. 최근에는 건설단과 시공사, 하도급 회사, 경찰이 조를 나눠 24시간 합동 경계근무를 하고 있다.

지난달 환경단체 2명이 감시망을 피해 타워크레인을 무단 점거, 4대강 사업 중단을 요구하며 농성을 벌인 이후 같은 일이 반복되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기자가 현장을 방문한 이날에도 새벽 6시부터 지역 골재협회 회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로 보이는 몇몇 사람들이 보트로 강천보에서 함안보까지 낙동강 공사현장을 돌며 반대 시위를 벌였다. 육로로는 골재협회 회원 50여명이 공사현장을 돌며 집단 농성을 벌였다.

합천보 현장 관계자는 "4대강 반대단체와 자신들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각종 단체들이 사전 집회신고도 없이 무단 농성을 벌이니 공사에 피해가 이만저만 아니다"며 "매일 이렇게 교대로 경계근무를 해야하니 여기가 38선 최전방인지 헷깔릴 정도"라고 불만을 터트렸다.

공사가 제대로 진행 안되니 피해를 보는 것은 지역주민들도 마찬가지다.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들도 있지만 이는 서둘러 공사를 진행할 경우 반대로 농작물에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여기는 주민들이다.

김영우 수자원공사 4대강살리기 경남1지구 건설단 공사팀장은 "처음 농경지 리모델링에 의미를 두지 않았던 주민들이 추가로 리모델링 작업을 요구하면서 이 부분이 주민들의 반대로 잘못 비춰지기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이 같은 주민들의 추가 리모델링 요구에 국토부에 추가지역을 선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예산 문제로 아직 확답을 받지 못하고 있다. 농경지 리모델링 대상은 전체 8000ha 규모로 전체 149개 지구에 이른다.

함안보 인근에서 만난 한 지역 주민은 "공사가 서둘러 진행되다보니 강 수위가 높아져 농경지가 침수될 우려가 있는 곳도 있지만 여기서 공사를 중단한다면 예전보다 더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며 "공사를 수정하더라도 끝까지 진행해 줄 것을 대부분의 주민이 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