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시장, 향후 10년간 42조원 거대시장 형성

2009-08-02 14:35

   
 
 
최근 각국 정부의 녹색 성장에 대한 관심 고조와 경기 부양 노력으로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들에서는 이미 시범사업을 진행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했으며 한국에서도 지식경제부 주도로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스마트그리드가 전력산업에 10년간 42조원의 거대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오는 2020년에 태양광 발전용량 1.4GW, 스마트미터 보급율 98%를 가정했을 때 국내 스마트그리드 전력산업 시장은 42조원의 거대한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개념은 1980년대에 이미 개발이 됐다. 스마트그리드의 경제성과 안정성, 친환경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력 시스템 산업의 보수성으로 최근에야 사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이같은 사업화의 진행 배경으로 인구증가에 따른 전력 사용량 증가, 유무선 통신 및 인터넷 시스템 발달, 경기침체로 인한 정부 주도의 경기 부양 사업 증가, 지구 온난화 가속화를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스마트그리드가 국가 전력 인프라 전반에 대한 개조가 요구되는 사업으로 전력산업과 IT산업 등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 전력 IT 사업단에서는 세계 스마트그리드 시장 규모가 2030년까지 870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매우 적극적이다. 미국은 노후 설비에 대한 교체 필요성에서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송배전망에 대한 투자가 지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집중됐으며 민영회사들이 투자를 유보하면서 설비가 노후화됐다.

송배전단에서의 전력 손실률도 1970년대에는 5% 수준이었던 것이 현재는 7%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지난 2007년에 제정한 '에너지 자립 및 안보법'에서 스마트그리드를 명시해 2020년까지 국가 송배전망 고도화, 수용가 전력사용 효율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설비 투자시 연방정부가 20%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오바마 정부는 스마트그리드를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 정책으로 삼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경기부양책에 포함된 내용에는 스마트그리드 개발 프로젝트에 110억달러를 투자하는 것 외에도 첨단 에너지 설비 투자 세액 공제 23억달러, 에너지 효율화 및 신재생 에너지 연구 25억달러,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대출 60억달러 등이 관련돼 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행보를 세계 전력 시장에서 입지를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로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전기를 발명한 종주국이지만 전력 산업의 주도권을 이미 유럽에 빼앗긴 상태다.

세계 중전기 시장은 ABB, Siemens, Areva 등 유럽 4사가 80%를 장악하고 있다. 초고압 케이블시장 또한 유럽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 업체로는 '제네럴 케이블' 정도가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송전 분야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시장 질서를 뒤엎고 배전단을 중시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만큼 유럽보다 한 발 앞서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의 민간 회사들도 정부의 지원 아래 사업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 내 스마트미터 보급률은 4.5% 수준인제 오바마 정부는 4000만대의 스마트 미터 구축을 요구한 상황이다.

유럽의 경우 전통적으로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확산에 가장 적극적이다.

유럽이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는 신재생 에너지 등 고효율 저탄소 분산형 전원의 보급 확대, 환경 보전, EU국가간 전력 거래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성 부분도 강조되고 있다. 유럽은 EU집행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2005년에 사업 추진 조직을 구축해 유럽형 스마트그리드를 독자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EU도 2022년까지 전 건물의 80%를 스마트그리드에 포함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힌데 이어 영국은 2020년까지 70억파운드를 투입해 전 가정에 스마트미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네덜란드는 인공섬을 조성해 조력, 태양광,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시티를 건설하고 있다.

이처럼 전세계가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저탄소 녹색 성장을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했다.

정부는 세계 최초로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완료하는 동시에 수출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단 국내는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는데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국토가 좁고 초고속 인터넷망이 가장 발달해 있으며 단일 송배전 회사 체제를 가지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한전이 경쟁 체제를 수용하고 스마트그리드 체제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고자 하면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속도를 낼 수 있다"며 "정부의 정책 및 분산 전원의 경제성 확보에 따라 사업의 규모와 속도가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주경제= 이미경 기자 esit91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