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경제 탓'···기업 단기유동성 자금 늘었다

2009-06-17 11:04

국내 기업들의 단기유동성 자금 규모가 전년대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실태'를 조사한 결과, 단기유동성 자금이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45.7%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은 33.6%, 줄었다는 응답은 20.7%였다.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7%가 '경제 불확실성 증대'를 꼽았다. 이어 '금융권 신용경색에 따른 중개기능 약화'(19.6%), '장기금융상품 투자메리트 감소'(6.1%), '기업구조조정 대비'와 '투자처 발굴애로'가 각각 4.3%로 뒤를 이었다.

단기유동성자금 보유 형태로는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 상품이 53.5%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MMF'가 13.4%,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이 13.2%, '요구불예금' 6.2% 등의 순이었다.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었지만 자금 사용처는 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3.9%가 '대부분 정해져 있다'고 답했으며, '일부 정해져 있다'도 32.9%였다. '정해진 자금 사용처가 없다'고 답한 기업은 13.2%에 불과했다.  

단기유동성 자금을 주로 사용할 곳으로 '원자재 구입'(4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차입금 상환'(20.6%), '시설투자'(15.0%), '생산설비 운영'(11.8%), '기타 운영자금'(9.5%), '인건비 지급'(2.9%)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단기유동성 자금 규모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79.3%가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라고 답했다. '지금보다 늘릴 계획'이라고 답한 기업은 10.9%, '줄일 계획이다'라는 응답은 9.8%였다.


시중 단기유동성 증가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엇갈린 반응이 나왔다. '주가상승 소비심리개선 등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고 답한 기업이 36.5%, '실물경기 회복지연과 부동산 과열 등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는 37.1%로 각각 조사됐다.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는 응답도 26.4%나 됐다.

시중의 단기유동성 흡수를 위한 방법으로 금리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64.7%로 '필요하다'는 응답 35.3%보다 많았다.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 해소를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수단으로 '적극적인 경기회복 정책 추진'(41.1%)을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금융권 자본확충을 통한 중개기능 회복'이 22.0%, '규제완화 등 투자환경 개선'이 18.3%, '신속한 구조조정 마무리'가 15.5%, '펀드 등 수익성 있는 장기투자상품 개발'이 3.1%로 나타났다.

상의 관계자는 "경제 불확실성과 신용경색 우려로 기업들이 자금을 단기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 같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경기활성화 정책을 유지해 경기를 활성화 시키고 금융권 자본확충 등을 통해 금융시장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기업의 전체 보유자금 중 단기유동성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4.0%로 조사됐다. 특히, 단기유동성 자금 비중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매출액 기준 1~100위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 비중은 74.8%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101~200위 기업이 64.7%, 201~300위는 61.2%, 301~400위는 60.8%, 401~500위는 58.7%로 각각 집계됐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