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경제 탓'···기업 단기유동성 자금 늘었다
국내 기업들의 단기유동성 자금 규모가 전년대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실태'를 조사한 결과, 단기유동성 자금이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45.7%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은 33.6%, 줄었다는 응답은 20.7%였다.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7%가 '경제 불확실성 증대'를 꼽았다. 이어 '금융권 신용경색에 따른 중개기능 약화'(19.6%), '장기금융상품 투자메리트 감소'(6.1%), '기업구조조정 대비'와 '투자처 발굴애로'가 각각 4.3%로 뒤를 이었다.
단기유동성자금 보유 형태로는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 상품이 53.5%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MMF'가 13.4%,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이 13.2%, '요구불예금' 6.2% 등의 순이었다.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었지만 자금 사용처는 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3.9%가 '대부분 정해져 있다'고 답했으며, '일부 정해져 있다'도 32.9%였다. '정해진 자금 사용처가 없다'고 답한 기업은 13.2%에 불과했다.
단기유동성 자금을 주로 사용할 곳으로 '원자재 구입'(4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차입금 상환'(20.6%), '시설투자'(15.0%), '생산설비 운영'(11.8%), '기타 운영자금'(9.5%), '인건비 지급'(2.9%)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단기유동성 자금 규모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79.3%가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라고 답했다. '지금보다 늘릴 계획'이라고 답한 기업은 10.9%, '줄일 계획이다'라는 응답은 9.8%였다.
시중 단기유동성 증가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엇갈린 반응이 나왔다. '주가상승 소비심리개선 등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고 답한 기업이 36.5%, '실물경기 회복지연과 부동산 과열 등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는 37.1%로 각각 조사됐다.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는 응답도 26.4%나 됐다.
시중의 단기유동성 흡수를 위한 방법으로 금리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64.7%로 '필요하다'는 응답 35.3%보다 많았다.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 해소를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수단으로 '적극적인 경기회복 정책 추진'(41.1%)을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금융권 자본확충을 통한 중개기능 회복'이 22.0%, '규제완화 등 투자환경 개선'이 18.3%, '신속한 구조조정 마무리'가 15.5%, '펀드 등 수익성 있는 장기투자상품 개발'이 3.1%로 나타났다.
상의 관계자는 "경제 불확실성과 신용경색 우려로 기업들이 자금을 단기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 같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경기활성화 정책을 유지해 경기를 활성화 시키고 금융권 자본확충 등을 통해 금융시장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응답자 중 매출액 기준 1~100위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 비중은 74.8%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101~200위 기업이 64.7%, 201~300위는 61.2%, 301~400위는 60.8%, 401~500위는 58.7%로 각각 집계됐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