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전북 2036 올림픽 공동개최, 국가균형발전 첫걸음"
2025-01-31 06:00
비용 절감·인프라 등 분산효과 기대…김관영 지사 "열린 마음으로 협의"

‘2032 하계올림픽’ 유치에 뛰어들었다가 호주 브리즈번에 패배한 서울은 일찌감치 2036 올림픽 유치 재도전을 선언했다. 여기에 전북특별자치도가 올림픽 유치 작전에 가세하며 서울과 경쟁하는 모양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올림픽 공동 개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서울과 전북 간 협력은 국가 균형발전의 첫걸음이 될 것"이란 게 공동 개최를 주장하는 이유다.
그도 그럴 것이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대도시가 아닌 지방 도시, 단독 개최가 아닌 공동 개최에 방점을 두는 쪽으로 기조를 바꾸었다. 이를 방증하듯 호주 지방 도시인 브리즈번이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 도시로 선정됐다.
공동 개최 이점은 '비용 절감'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부분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인프라와 경제력의 분산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지역 균형발전의 새 모델이 될 수 있다.
체육계 관계자는 "서울은 88올림픽, 전주는 세계한상대회 등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에 성공한 경험이 있다. 서울시와 전북이 2036 하계올림픽 유치 활동 과정에서 화합해 최종적으로 공동 개최를 이끌어낸다면 지역 균형발전의 토대를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역사를 새롭게 쓰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도 "서울·전북 공동 개최에는 주요한 시대적 가치가 담겨 있다.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김 도지사는 "현재 올림픽 유치 경쟁 과정에서 전주가 선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체육회와 서울시에서 공동 개최의 뜻에 공감한다면 전북도 열린 마음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체육회는 후보 도시 현장 실사와 국제위원회 심의를 마쳤다. 2월 17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28일 대의원총회를 통해 후보 도시를 최종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