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韓 AI 'G3 도약' 지금 상태론 '헛된 꿈'…예산 늘리고, 기초체력 키워야

2024-11-15 05:0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G3) 도약’이라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기술력은 글로벌 6위권 수준으로 평가받지만 관련 투자는 경쟁국들과 비교했을 때 한참 뒤떨어지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급변하는 AI 생태계 속에서 생존하려면 당장 예산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를 통해 ‘인재 육성’과 ‘밸류체인(부가가치 생태계)​ 구축’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만 미래 경쟁력을 담보할 수 있을 거란 분석이다.
 
영국 데이터 분석 매체인 토터스미디어가 발표한 '2024 글로벌 AI 인덱스'에서 우리나라 AI 경쟁력 순위는 6위로 집계됐다. 정부는 국가 AI 경쟁력을 G3 수준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내년에 예산 1조8000억원을 투입하겠단 계획을 밝혔다.
 
이는 올해보다 25% 증가한 규모지만 지난해(1조8500억원)와 비교했을 땐 500억원가량 적은 수준이다. 경쟁국들이 매년 AI 예산을 공격적으로 늘려가는 추세를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작년 민간 분야 AI 투자 규모도 1위인 미국(91조원) 댜바 약 5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국내총생산(GDP)이 한국 대비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이스라엘(2조원)보다도 뒤처졌다.
 
전문가들은 내년을 미래 국가 AI 파급력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AI 에이전트(비서)가 본격 개화하면서 전체적인 AI 판도의 틀이 잡힐 거란 뜻이다. 이 와중에 현재 책정한 AI 예산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할 것으로 봤다.
 
최병호 고려대 AI 연구소 교수는 “내년을 놓치면 골든타임을 잃게 되는 긴박한 상황”이라며 “최소 몇조 단위 예산을 당장 편성하고 즉시 집행해야 글로벌 AI 투자 비용 중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미국과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통해 일단 인재 육성 측면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생성형 AI와 관련 기술들에서 인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그렇다 보니 현재 집행 중인 예산도 대부분이 인재 육성에 투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예산 규모를 키워 인재 확보 범위를 가능한 한 넓힐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인재가 연구하는 부분도 정부 과제인 ‘알티미스트’와 같은 특성을 띠어야 할 것으로 봤다. 이 과제는 다른 과제와 달리 초난이도 목표를 설정한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10초 이상 시간이 소요됐던 기술을 0.1초까지 줄이겠다는 극한의 지향점을 설정하는 식이다. 이는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되는 중장기 로드맵으로 진행된다. 만약 실패하더라도 어떠한 책임도 묻지 않는다. 이처럼 중장기인 투자 지원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해야만 미래 상황에 걸맞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밸류체인 구축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AI 기술은 반도체, 클라우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요소가 한꺼번에 연동돼 돌아가는 만큼 이 부분을 육성하는 게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해당 부분은 민간기업이 나서서 확보하기 어려운 영역이어서 정부 역할이 절대적이다. 이 밖에 정책 수립 과정에서 과학자들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청취하는 것도 필요 과제로 지목됐다.
 
최 교수는 “국내 AI 관련 움직임은 미국에 비하면 오히려 너무 한가한 상황”이라며 “격차를 줄이기 위한 요인 중 대다수 돈과 관련된 만큼 증액된 예상을 바탕으로 기존과 확실히 차별되는 파격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