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하기 위해 생산 시스템 혁신 필요"

2024-10-24 17:29
건산연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 기반 건설혁신' 세미나

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24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 기반 건설혁신 세미나'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환경 변화로 한계에 직면한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 시스템 혁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 기반 건설혁신 세미나'에서 "현재 건설산업은 원자재 수급 불안정성, 현장 작업자 구조 변화, 안전 및 품질 규제 강화 등 다양한 변화에 직면해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부연구위원은 "지엽적 개선이 아닌 전체 생산시스템의 혁신을 통한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건설 기술인력·기능인력 고령화, 숙련근로자 감소 등 현장 작업자 구조 변화로 현장에서는 작업생산성 하락, 품질편차 확대, 근로자 확보 어려움이 심화되는 가운데, 스마트 건설기술 기반의 혁신이 건설산업의 현안 해소와 산업 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부연구위원은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기반 건설산업 혁신정책과 관련해 △기술 활용기반 정비 지연 △파편화된 건설사업 가치사슬 전반의 향상 고려 미흡 △디지털화 및 자동화 지원을 위한 표준화 전략 미흡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현재 소수 상위 건설기업은 건설정보모델링(BIM), 디지털 트윈, 드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의 보급화 단계에 접어든 반면, 대부분의 건설기업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이 저조하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술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디지털 전환 수준 또한 매우 낮은 수준으로 ‘기술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박 부연구위원은 "건설 생산시스템 혁신 방향은 설계·시공기술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건설 가치사슬 전반을 고려해야 하며, 건설사업 참여주체의 디지털 기반 업무수행체계 및 상호 연계,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기반 정비, 실증 데이터 축적 및 지속적 개선을 위한 각 참여주체별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스마트건설의 제도 및 정책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선 법·제도 등 산업체계 전반 및 생태계 관점의 고도화 방안이 제시돼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광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산업이 겪고 있는 생산성 저하·부정적 이미지·공사비 부족·생산가능인구 감소 등 한계 극복을 위해서는 산업 내 스마트건설의 조속한 안착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이 연구위원은 "스마트건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종 규제 및 복수부처의 법령·제도로 얽혀 있는 경직적이고 분절화된 산업체계의 혁신이 필수적"이라며 "그간의 제도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스마트건설의 도입·안착을 위해 해결해야 할 각종 문제가 산적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각종 한계 해소를 위해서는 건설산업 체계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적 추진이 핵심적이며 이를 통한 기존 규제 개선과 함께 스마트 건설형 新 산업환경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스마트건설 정착을 위한 시장참여자별 역할로 '정부의 산업체계 혁신을 통한 선순환 체계 구축' '발주자의 합리적 사업추진 및 실행방안 마련' '산업계의 진일보한 생산시스템 도입을 통한 역량 강화'를 제시하면서 참여자별 합리적 역할 수행을 통한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