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저고도 하늘길' 개척 속도...5G 활용해 관제시스템 만든다

2024-08-19 15:08
상하이·베이징 등 관련 계획 줄줄이 발표
화웨이 등 中 대표 통신사들 전부 업계 진출

중국 대표 eVTOL 업체 이항 EH216-S [사진=이항 홈페이지]

중국이 5G(5세대 이동통신)를 활용한 저고도 항공관제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저고도 항공관제 시스템은 도심항공교통(UAM)의 핵심 인프라시설 중 하나로 꼽힌다. 전기차에 이어 하늘을 나는 자동차 시장도 선점하겠다는 중국의 야심이 엿보인다. 

19일 중국 경제매체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상하이시 통신관리국은 최근 ‘상하이 정보통신산업의 저고도 스마트 네트워크 구축 가속화에 대한 지도의견’을 발표하고 2026년 말까지 저고도 항공기의 경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저고도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상하이는 향후 3년 동안 5G-A를 기반으로 한 저고도 네트워크 구축 범위를 늘려갈 계획이다. 5G-A는 5G 어드밴스드(5G-Advanced·진화한 5G)의 줄임말로 5.5G라고도 불린다. 쉽게 말해 5G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5G에서 6G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다. 하나의 기지국으로 ㎢당 최대 100만개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데다 데이터 전송 속도와 신뢰성 측면에서 5G보다 10배 향상된 성능을 자랑한다.

고고도에서 활용되는 항공관제 시스템은 드론 등 저고도 항공기의 탐지가 어렵다. 이에 5G를 활용한 저고도 항공관제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5G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지연이 거의 없다. 더욱이 5G-A는 레이더와 비슷한 수준의 감지 기능까지 갖춰 항공관제가 가능하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5G의 도달 거리가 약 150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제약이 있긴 하나, 위성통신 등 기술을 접목하면 고도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중국 경제매체 증권일보는 "5G-A와 인공지능(AI), 위성통신과 같은 기술은 저고도경제(고도 1000m 이하 공역에서의 eVTOL와 드론 등을 활용한 산업의 통칭) 인프라시설 구축 과정에서 구현되고 있다"면서 "항공 교통 관리와 공역 관리 시스템 건설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하이 외에도 중국 각 도시들은 저고도 관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광둥성은 지난 5월 ‘광둥성 저고도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핵심 역시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관제 시스템 구축이다. 

베이징은 2027년까지 10억 위안(약 1888억원) 규모의 선도 기업 10곳, 1억 위안 이상 규모의 핵심 부품 업체 50곳, 기술 서비스 기업 100곳 등을 육성하고, 저고도 네트워크·수직 이착륙장·수직이착륙기·무인항공기 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과 브랜드 영향력을 갖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밖에 선전, 주하이 등에서도 저고도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대표 통신사들도 저고도 관제 통신 분야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최근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 화웨이, ZTE는 최근 관련 기술 검증에 돌입한 상태다. 

한편 중국 민간항공국에 따르면 중국의 저고도경제 규모는 2030년까지 2조5000억 위안, 2035년에는 3조50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