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車림표] '전기차 안티' 트럼프의 재부상...완성차 업계는 긴장

2024-07-24 06:00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마지막날 행사에 참석해 주먹 쥔 팔을 들어 보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암살 미수 사건 이후 경쟁자인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지지율 격차를 벌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1월 미국 대선에서 전기차 정책 변화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전략 변화에 관심이 쏠린다.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둔화) 상황에 미국의 정책 변화까지 예고되면서 현대차그룹을 비롯한 완성차 업체들의 전동화 전략에도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취임 첫날 전기차 의무를 폐기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공언한 '2030년 신차 판매 5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취소하겠다는 의미다.
 
전기차뿐 아니라 해외 자동차 업체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공약인 '트럼프노믹스 2.0'의 3대 핵심은 반세계화, 반중국, 반친환경이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평균 3%대인 미국의 관세율이 10%까지 올라가면 한국의 대표 수출품인 자동차 수출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여기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축소되거나 폐기되면 배터리와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기로 한 국내 기업에 악재가 될 수 있다.
 
완성차 업계에서는 정책 불확실성 심화로 미국 내 전기차 투자 계획을 수정하거나 축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해 10월 혼다와의 전기차 합작 개발 계획을 철회했다. 포드도 전기차 관련 투자 연기 및 생산 축소 계획을 발표했고, 하이브리드차를 과도기적 기술로 취급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테슬라는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을 2000만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삭제했다. 메르세데스-벤츠도 2030년까지 100%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수정해 그 이후에도 내연기관차 모델을 판매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대차그룹 역시 미국 조지아주에 짓는 전기차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하이브리드차를 함께 생산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도 자동차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져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중 무역갈등으로 중국산 전기차 및 관련 소재에 대한 관세가 높아지면서 미국 내 전기차 생산 원가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KAMA는 "중국산 소재 및 부품 의존도를 낮추고 가격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는 기업이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AMA의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 판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6월 한국계 브랜드의 전기동력차(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수소전기차) 판매량은 7만2528대로 작년 동기보다 46.4% 늘었다.

특히 국내 브랜드의 미국 전기차 판매량은 6만1843대로 전년동기(3만8457대) 대비 60%나 늘었다. 미국 전기동력차 시장에서 한국계 브랜드의 점유율은 작년 상반기보다 2.8%포인트 상승한 10.2%를 기록했다. 현대차의 경우 전체 매출에서 북미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넘어설 정도로 최대 시장으로 부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