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뿐 아니라 OTT도"…정부, 취약 계층에 디지털바우처 사업 실시
2024-07-22 14:59
생계·의료 급여 받는 기초생활수급자 선착순 5000명 모집
정부가 취약계층의 통신비 절감을 위해 디지털 바우처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기존에 시행했던 단순 통신요금 감면에서 디지털 바우처로 정책 방식을 바꾸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도서·웹툰,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에도 지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존 통신요금 감면을 받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급여)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다음달 29일까지 디지털 바우처 시범사업을 위한 참여자 50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은 오는 9월부터 11월까지 총 3개월 동안 월 최대 2만8600원의 금액과 데이터 쿠폰 15기가바이트(GB)를 제공한다는 것이 골자다. 참여자는 우체국 체크카드(BC카드)를 통해 받은 바우처 금액을 통신요금과 통신사별 부가서비스·제휴상품, OTT 등 디지털서비스, 단말기 할부금에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의 성패는 얼마나 많은 참여자들이 지원 금액을 통신비 이외의 사용처에 쓸 수 있을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기준 기존 정책으로 통신비를 감면받는 대상자 중 최대 감면액인 2만6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감면받는 인원은 11만7272명으로 전체 11.6%에 불과했다. 즉 약 90% 가량이 지원금 전액을 통신비로만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2만8600원을 지원받는다 하더라도 대다수 대상자들이 이를 통신비에 다 쓰게 된다면 사업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대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와 협의해 15GB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한다고 답했다. 충분한 데이터를 지급함으로써 이들이 더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하도록 유도, 부가서비스 이용 여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OTT 업계에선 이 같은 움직임에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취약계층의 접근성 향상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정책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지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취약계층에 방송이나 통신 외에도 부가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는 것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면서도 "정책을 위해 OTT 업계가 기금을 지원할 법적 근거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OTT가 정부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 통신사업자가 아닌 부가통신사업자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