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승찬 ETRI 원장 "출연연 혁신방안에 PBS 개선 아쉬워…5G는 서비스가 핵심"

2024-06-27 17:30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이 27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ETRI]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이 국내 연구개발(R&D)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연구과제중심제도(PBS)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혁신방안과 관련해 PBS 개선이 반영되지 않아 아쉽다는 입장이다. 

방 원장은 27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ETRI 콘퍼런스 2024'에 참석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방 원장이 개선하자고 한 PBS는 연구사업 기획과 예산 배분, 수주, 관리 등 연구 관리체계 전반을 프로젝트 단위로 쪼개서 경쟁 체제로 운영하는 게 골자다. 연구 책임자는 직접 연구과제를 섭외하거나 과제 수주 경쟁에 참여해 과제를 확보함으로써 인건비 등 연구 비용을 충당한다. R&D 투자를 효율적으로 하고 출연연의 성과 도모하겠다는 목적이다.

방 원장은 "연구자들이 먹고 살기 위해서 이곳저곳에서 과제를 따온다. 따오기만 하면 대부분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낸다"며 "그런데 이것이 진정한 성공인지는 모르겠다. 이렇게 지속된다면 이는 곧 대한민국 R&D가 실종되는 것"이라고 했다. PBS가 연구 과제 파편화를 초래하고 연구자들이 비교적 성공하기 쉬운 과제 확보에 매몰돼 대형 연구사업에 도전하기 어렵게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간담회에선 '28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의 수익성'에 대한 물음도 나왔다. 28㎓ 대역은 도달 거리가 짧고 장애물 앞에서 회절성이 취약하다는 이유로 수익성이 없는 주파수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에 방 원장은 어떠한 서비스를 만들어내느냐가 핵심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모바일핫스팟네트워크(NHN)기술의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을 예시로 들었다. NHN 기술은 ETRI가 정부과제로 2012년부터 개발해 2016년 세계 최초 지하철 8호선의 달리는 열차에서 기가급 와이파이 성능을 시연한 기술이다. 

방 원장은 "28㎓와 비슷한 밀리미터파 용도자유 대역(22~23.6㎓)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기가급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이미 상용제품을 개발해 지하철 8호선에서 실증시험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달 '2025년 상반기 대구 지하철 1호선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전국 6대 광역시 지하철에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