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 '힘찬 출발'

2024-06-26 17:36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 컨퍼런스 개최…전주형 일자리 노·사·민·정 기관간 이행 협약도 체결

전주시가 26일 기회발전특구 탄소협약기업 7개사를 포함한 30개 노·사·민·정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 컨퍼런스’를 개최했다.[사진=전주시]
전북 전주시가 지방의 경제 활성화와 인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균형 발전 전략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가운데, 강한 경제 전주의 대변혁을 앞당길 특구의 힘찬 출발을 알리는 자리가 마련됐다.

시는 26일 더메이호텔에서 우범기 시장과 이기동 시의회 의장, 양오봉 전북대 총장, 박병철 한국노총 전주시지부 의장, 최송주 효성첨단소재 전무 등 기회발전특구 탄소협약기업 7개사를 포함한 30개 노·사·민·정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대규모 투자환경과 양질의 일자리가 마련된 전주시가 ‘전주시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며 산업 대변혁의 신호탄을 쏘는 자리로 꾸며졌다. 

특히 그동안 추진해온 전주형 일자리 협약기관이 모두 참여하고, 전주형 일자리 10개 참여기업의 투자 부지가 기회발전특구에 모두 포함돼 전주형 일자리 사업이 기회발전특구로 확대·재편돼 본격 추진된다.

이날 컨퍼런스는 △기회발전특구 경과보고 △노·사·민 대표 4인의 소감 발표 △업무 이행 협약식 △비전공유의 장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이날 협약식에서 시와 전주시의회, 전북대학교, 한국노총 전주시지부, 효성첨단소재 등 기회발전특구 탄소협약기업 7개 등 30개 노·사·민·정 대표는 △기 체결된 투자와 고용 성실히 이행 △탄소소재국가산단의 원활한 입주를 위한 고용, 노동, 행정 등 원스톱서비스 행정지원 △혁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신사업 공동 발굴 및 교류 협력사업 추진 등을 골자로 한 업무이행 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전주가 글로벌 탄소소재산업 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합의와 기업의 투자를 촉진시켜 지역경제 활력 회복의 구심점이 되고, 향후 탄소소재국가산단 유망기업 유치를 통한 탄소융복합 일자리 확대로 투자 활성화 등 산업 대변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약식에 이어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갖는 의미와 비전을 공유하는 ‘비전 공유의 장’도 마련됐다. 

‘비전 공유의 장’은 △기회발전특구 향후 과제 △산업단지 추진방향(노후거점산단, 신규산단) △전주형 일자리, 탄소융복합 일자리로 확대·재편 등을 주제로 한 발표에 이어 질의응답 시간으로 꾸며졌다.

시는 오는 2026년까지 1단계로 기존 10개 참여기업을 시작으로 오는 2028년 탄소소재국가산단 입주기업을 포함해 총 3단계가 완료되면 탄소융복합 밸류체인 연결로 투자 8072억원과 고용 2233명 등 대규모 경제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총 225만㎡ 규모 신규 산단 조성을 위해 ‘신규 일반산업단지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 용역’을 추진해 전주 신산업을 이끌 핵심 산업단지를 확보하고, 지난 4월 공모에 선정된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지구’(총 사업비 2843억원)를 통해 노후화된 산단을 디지털 대전환 혁신기지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19년간 탄소섬유와 탄소복합재 개발에 앞장서면서 대한민국 탄소융복합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탄소융복합산업 인프라와 연구 기반 구축,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 지정 기반을 마련해왔다.

우범기 시장은 “강한경제 전주, 준비된 투자와 일자리가 있는 전주는 전주시 산업대변혁의 시작을 알리는 ‘전주시 탄소융복합 기회발전특구’를 지금 바로 시작한다”며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계기로 우수기업을 유치해 탄소융복합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새로운 기반을 마련하고, 세계적인 탄소융복합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