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구성 막판 협상도 결렬...여 "앞으로 만날 일 없어" vs 야 "더 이상 기다릴 순 없다" 

2024-06-23 16:17
국민의힘, 24일 의총서 결론...추경호 "빈 손 협상 무의미해"
민주당 '11대7' 고수...박찬대 "총선 민심 반영하는 길"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과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마친 뒤 각자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24.06.2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여야 원내대표가 23일 22대 국회 전반기 원(院) 구성을 위한 막판 협상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은 여야에 이번 주말까지 원 구성 협상을 마치라고 통보한 바 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에도 우 의장 주재 아래 마주 앉았으나 빈손으로 헤어졌다. 이날도 마지막까지 협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실에서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제 빈손 협상은 더 이상 무의미하다"며 "앞으로 만날 일 없다. 국회를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해서 국민의힘에서는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추 원내대표는 "우 의장은 협상 재촉만 했지 어떠한 중재안을 제시한 게 없었고 박 원내대표도 기존 입장만 반복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여당 몫으로 남겨둔 7개 상임위원장 수용 여부를 놓고 오는 24일 오전 의원총회에서 최종 결론을 내기로 정했다. 
 
민주당은 지난 10일 운영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등 11개 상임위원장을 민주당 의원으로 선출했다. 이후 국민의힘은 '법사위·운영위 1년 뒤 교대'를 제안했으나 민주당은 거부했다. 민주당은 협상이 결렬되면 남은 7개 상임위원장 명단을 제출하고 야당 주도로 본회의를 열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만약 국민의힘이 야당의 제안을 거부하고 25일 본회의가 개최되면 민주당이 18개 상임위를 모두 가져갈 가능성도 존재한다. 반대로 7개 상임위원장을 수용하면 국회 '보이콧'이 해제되면서 여야 의원 모두가 참여하는 상임위가 가동된다. 그러나 민주당은 11대7 제안을 고수했다.
 
박 원내대표 이날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내일(24일) 오전 국민의힘이 의원총회를 열면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라며 "그 결과에 따라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11대7이 바람직하다. 의석 수에 따라 정해야 한다"며 "그것이야말로 국민의힘을 지지한 유권자의 마음을 반영하는 길"이라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상임위 협상을 무한정 기다릴 수는 없다"며 "저기서(국민의힘) 7개 상임위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명단을 제출하지 않으면 국회는 다시 미뤄질 것이다. 불가피한 결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