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기회발전특구 지정…첨단산업 유치 탄력'착착'

2024-06-21 14:22
지난 20일 지방시대위원회 발표, 구미국가산업단지 57만평 지정 - - 투자기업 정부차원 패키지 지원, 첨단산업 분야 투자 활성화 기대
반도체, 방산에 이은 기회발전특구로 정부 핵심사업 유치

구미 제1공단전경[사진=구미시]
경북 구미시(시장 김장호)가 지난해 반도체 특화단지, 방산혁신 클러스터에 이어 정부의 지방시대 핵심과제인 기회발전특구 선정되며, 민선 8기 혁신을 통한 변화의 바람을 계속 불어넣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일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위원장 우동기)에 따르면 정부 핵심 국정사업인 기회발전특구에 경북도가 포함돼 구미국가산단을 중심으로 한 구미시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 유치를 위해 세제‧재정 지원, 규제특례,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구역으로 구미시는 경상북도와 함께 지난해부터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준비해 왔으며, 올 초 산업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한 결과,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기회발전특구에 최종 선정됐다.
 
구미시 기회발전특구는 반도체‧방산‧이차전지 분야 투자기업과 하이테크밸리(5산단) 및 산단 내 투자가능부지 등 총 면적 57만평이 지정됐다.
 
최근 반도체(SK실트론, LG이노텍 등), 방산(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 이차전지(LG-HY BCM, 피엔티 등) 등 첨단산업 분야 투자기업들이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기회발전특구 고시 등 정부의 세부 지원방안이 구체화되면 세제‧재정지원, 규제특례 및 정주여건 개선 등 종합적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시는 지역 특화형 기회발전특구로 만들기 위해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노력을 펼쳤다. 반도체 특화단지, 방산혁신 클러스터와 연계하는 ‘구미 형 기회발전특구’를 기획해 지난해 7월부터 추진단(TF)을 구성하고 지자체-지역기업-유관기관의 협조체계를 구축‧운영해 왔다.
 
지방시대위원회를 비롯한 정부부처, 국회, 관련학회 등을 수시로 방문해 기회발전특구의 추진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했고, 지역 국회의원과 정부 주요인사 등에 기회발전특구 필요성을 꾸준히 알렸다.
 
이밖에도,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김병준 전)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등 정재계 인사를 지역으로 초청해 기회발전특구를 건의하고 선정될 수 있도록 지원을 당부하기도 했다.
 
구미시는 첨단산업으로의 산업 대전환을 위해 지난해 반도체 특화단지, 방산혁신 클러스터 등 윤석열 정부의 굵직한 국정 프로젝트를 유치하는데 성공했고, 첨단 방위산업용 시스템반도체 부품 실증기반 및 첨단반도체 Complex 구축, 이차전지 육성 거점센터 및 방산 R&D기관 유치를 추진하는 등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에 노력 중이다.
 
또한, 기업투자를 위한 유치활동에도 전력을 기울여 민선 8기 2년간 첨단산업 중심으로 5조 8천억 원대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구미는 반도체 특화단지와 방산혁신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의 생태계가 잘 갖춰진 도시로 이번 기회발전특구 선정으로 투자기업에 종합적인 지원이 가능해져 첨단산업 기업투자 유치에 더욱 탄력을 받았다”며, “시는 첨단산업의 육성과 기업투자 유치에 박차를 가해 윤석열 정부 지방시대를 선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