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승 비대위원장 "의료 붕괴 이미 시작… 가능한 모든 수단 동원할 것"

2024-06-17 20:34
"전공의 어찌되든 치료하는 건 천륜 저버린 가혹한 요구"
수술건수 30%로 줄어… 휴진 참여 수 54.8%

의정 갈등 속 대한의사협회와 의대 교수 단체가 오는 18일 집단휴진을 앞둔 가운데 10일 서울의 한 대학 병원에서 의료진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병원 교수들이 "이미 의료 붕괴가 시작됐는데 정부는 전혀 듣지 않는다"며 전면 휴진을 선언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7일 집회를 열고, 정부의 의료 정책에 반발해 휴진에 돌입한 이유를 설명했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교수들은 전공의와 의대생들뿐 아니라 한국 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정부가 이들의 의견을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료 붕괴는 이미 시작됐고, 우리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며, "정부가 끝까지 무시한다면 휴진을 철회하겠지만, 그로 인한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비대위는 전공의 행정처분 취소, 현장의견 반영 가능한 의·정 협의체 구성, 2025년도 의대 정원 재조정 등을 요구했다.
 
집회에 참여한 강성범 교수는 "진료에만 충실한 것이 정의인가"라며 “전공의와 학생들이 밖에 나간 지 4개월이나 돼가는데, 그들이 어떻게 되든 상관없이 병원에 남아 환자 치료나 계속하는 것은 천륜을 저버린 가혹한 요구”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교수 400명이 입원·외래·수술 일정을 조정해 수술 건수가 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전공의들이 있었을 때 수술 건수(수술장 기준)를 100%라고 봤을 때 이번 주 수술 건수는 30%로 줄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환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약 처방 외래 운영 등을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휴진에 직접 참여한 교수는 532명, 전체 교수(970명)의 54.8%에 해당한다.
 
강 위원장은 "응급환자는 병원에서 진료받을 수 있다"며 "일주일 동안의 휴진 일정을 조절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진료 일정이 일주일 단위로 변경되고 있다"며 “다음주 일정은 아직 변경되지 않았고, 이번주 후반에 파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집회에는 박재일 전공의 대표와 김민호 서울의대 학생회장 등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참석했다. 박 대표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왜곡되지 않은 의료 현장에서 일하며 국민에게 더 나은 의료 혜택을 드리는 것"이라며 "상황과 문제에 대한 인식, 장기적인 해결 계획과 면밀한 수준의 논의, 그에 대한 설명과 투명한 공개"를 요구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몰락과 도덕적 해이를 지적하며, 의료 사고 시의 의사 형사처벌이 문제를 악화시킨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의사 집단에 자율규제 권한을 부여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