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장관, 푸틴 방북에 "합의 결과에 따라 대응조치 취할 것"

2024-06-16 21:26

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 9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온두라스 엔리케 레이나 외교부 장관과 회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 "이번 방문 결과로 (북러간에) 어떤 구체적 합의가 이뤄질지 두고 봐야겠지만 결과에 따라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16일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채널A '뉴스A'에 출연해 "한반도 평화·안정에 저해되는 방향으로 (북러간) 논의가 이뤄져선 안된다는 경고성 메시지를 러시아측에 분명히 전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북한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서로 필요에 의해 밀착한 측면이 있고 이런 차원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북러 협력이 장기적·전략적인 협력관계로 이어질지, 아님 필요에 의한 일시적·전술적 협력에 그칠 것인지 두고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외교가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오는 18~19일 평양을 찾는다. 그의 방북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집권하던 지난 2000년 7월 이후 24년 만이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찾아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재회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사항인 군사협력문제 등이 회담 의제로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조 장관은 비슷한 시기 개최되는 한중 외교안보대화와 관련해서는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 장관은 "지난 달 중국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난 자리에서 '대만 문제처럼 북한의 비핵화 문제도 우리에게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며 "서로 차이를 인정하며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나가는 것이 한중 관계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남 오물 풍선 살포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해 정부가 9·19 남북 군사 합의 효력 정지 및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조치를 내린 것에 대해서는 "절제된 대응"을 했다고 평가했다.

조 장관은 "우리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지지 입장이 있기에 긴밀한 공조 아래 그런 (북한의) 위협 행위를 중단시키도록 촉구할 것"이라며 확성기 방송을 재개할지, 아니면 그보다 더한 대응조치를 취할지는 전적으로 북한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