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11개월째 늘어…4월 4000조원 돌파

2024-06-14 12:17

지난 2월 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현금 운송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에 공급될 자금 방출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올 4월까지 시중에 풀린 돈이 11개월 연속 늘면서 4000조원을 돌파했다. 금리인하가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시중 통화량이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4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4013조원으로 3월보다 0.4%(16조7000억원) 늘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이들 금융상품 가운데 정기 예·적금, CD 등 시장형 상품, 수익증권이 한 달 사이 각 10조2000억원, 7조9000억원, 6조9000억원 늘었다. 반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요구불예금은 각 7조3000억원, 2조8000억원이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통화정책 전환 지연 우려, 중동지역 분쟁 등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늘면서 정기 예·적금이 증가했다"며 "시장형 상품의 경우 은행이 유동성규제비율(LCR) 관리 등을 위해 CD 발행을 늘린 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은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나 요구불예금의 자금은 정기 예·적금이나 금, 공모주 청약 등 다른 투자처로 유출된 것으로 분석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18조9000억원),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2조5000억원), 가계·비영리단체(1조7000억원) 등에서 유동성이 늘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234조8000억원)은 수시입출식 예금과 요구불 예금 등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0.8%(9조6000억원)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