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유가 안정에 수출입물가 5개월 만에 꺾여

2024-06-14 08:33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안정되면서 올들어 상승세가 이어졌던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5개월 만에 꺾였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5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에 따르면 5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로 2020년 수준이 100)는 131.70으로 4월(132.55)보다 0.6%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상승했으나 지난달 하락세로 전환했다. 

농림수산품은 1.9% 상승한 반면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5.7%), 화학제품(-0.4%) 등을 중심으로 0.6% 하락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냉동 수산물이 3.6% 올랐지만, 경유는 7.5%, 휘발유는 11.0% 내렸다.

5월 수입물가지수도 전월보다 1.4% 낮은 141.58로 다섯 달 만에 하락했다.

원재료가 광산품(-4.0%)을 중심으로 3.7% 하락했고, 중간재도 석탄 및 석유제품(-2.4%), 화학제품(-0.6%) 등이 내리면서 0.3% 하락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0.2%, 0.3%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4.5%), 원유(-5.9%), 천연가스(-2.9%), 나프타(-2.3%), 요소(-12.9%) 등의 하락률이 상대적으로 컸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65.39원으로 전월보다 0.2% 하락했다. 같은 기간 국제유가도 배럴당 평균 84.04달러(두바이유 기준)로 5.8% 떨어졌다.

수입 물가가 하락하면서 향후 생산자·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입 물가 하락은 시차를 두고 생산자·소비자 물가에 반영될 수 있다"면서 "시차가 어느 정도 될지, 생산자들이 가격 하락분을 어떻게 반영할지에 따라 영향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