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경제계, '3국 간 경협 반드시 필요' 한목소리...韓日은 '경제 활성화'·中은 '공급망 안정' 기대

2024-06-09 12:09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사진=연합뉴스]

한일중 주요 기업인들은 3국 간 경제협력 필요성에 공감하며, 특히 ‘경제 활성화’와 ‘공급망 안정’ 분야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한일중 경제협력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일중 3국 간 경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 3국 기업인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하다”(82.4%) 또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17.6%)라고 응답했다.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인은 단 한 명도 없어 3국 최고경영자(CEO)들이 만장일치로 경제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제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는데, 중국 측 CEO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국 간 경제협력 확대가 귀사의 기업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응답자 전원이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주요기업 CEO들은 ‘3국 간 경제협력의 기대효과’로 △경제 활성화(47.8%) △공급망 안정(41.2%) △저출생·고령화 문제 완화(5.9%) △제4국 공동진출 확대(5.1%) 등을 꼽았다. 국가별 응답내용을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은 ‘경제 활성화’(한 84.8%, 일 54.5%)를 기대하는 기업인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공급망 안정’(84.8%)을 기대하는 기업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인식차이는 3국 기업인들이 경제협력을 통해 각국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인들은 ‘3국 간 경제협력을 우선 추진해야 하는 분야’로 △기후변화 대응(33.8%) △금융·통화 협력(19.9%) △의료 협력 및 고령화 대응(19.1%) 등을 꼽았다. 이 경우에도 국가마다 우선 순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금융·통화 협력’(26.1%)을 최우선 분야로 꼽은 반면, 일본은 ‘기후변화 대응’(54.5%)을 중국은 ‘의료 협력 및 고령화 대응’(30.4%)을 각각 우선 추진돼야 할 분야로 꼽았다.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민간 차원의 소통·교류 확대(52.9%) △정부 차원의 외교적 협력 강화(25.0%)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번에는 3국 모두가 공통적으로 ‘민간 차원의 소통·교류 확대’(한 52.2%, 일 68.2%, 중 39.1%)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3국의 주요 CEO들은 경제협력의 필요성과 긍정적 효과에 대해 확신에 가까운 공감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향후 대한상의는 3국간 민간 경제협력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각국의 우선 추진과제와 기대 효과 등의 실행을 위한 공동연구 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3국 간 경제협력 활성화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향후 경제협력 추진 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조사는 지난달 27일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한 3국의 주요기업 CEO들 181명을 대상으로 각국의 언어로 제작된 조사표를 현장에서 배포하는 방식으로 시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