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KOTRA 연계 베트남 시장개척단 총 2730만 달러 수출 상담 성과

2024-06-05 14:59
베트남 호치민 1100만 달러, 하노이 1630만 달러 수출 상담 성과
탄소중립 위한 '종이 없는 사무실' 조성 추진

 
지난 5월 27일~6월 1일 4박 6일 일정으로 베트남 호치민과 하노이를 방문한 하남시 베트남 시장개척단이 호치민 수출상담회에서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하남시]
경기 하남시는 KOTRA 베트남 현지 무역관과 연계한 베트남 시장개척단 활동을 통해 총 2730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만들었다고 5일 밝혔다.

관내 기업 10개사로 구성된 베트남 시장개척단은 지난 5월 27일부터 6월 1일까지 총 4박 6일 일정동안 베트남 호치민에서 1100만 달러(상담 93건), 하노이에서 1630만 달러(상담 61건) 등 총 2730만 달러(상담 154건)의 수출 상담 성과를 거뒀다.

이번 성과는 KOTRA의 엄격한 시장성 평가를 통과한 10개사의 열정적인 현지 활동과 KOTRA 베트남 호치민·하노이 무역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시너지를 발휘했기에 가능했다.

특히, 파견기업 중 ㈜파르팜은 하노이 수출상담회 중 현지 바이어와 5만 달러 규모의 수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성과를 올렸는데, 이달 중 바이어의 한국 방문이 예정돼 있어 본격적인 수출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네추럴 코스믹의 경우 베트남 바이어가 베트남 시장개척단의 국내 귀국 시점과 동시에 국내 사무실과 공장을 방문해 15만 달러 규모의 마스크팩 수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추후 시장 반응에 따라 제품 수출을 위한 추가적인 논의도 펼쳐질 예정이다.
지난 5월 27일~6월 1일 4박 6일 일정으로 베트남 호치민과 하노이를 방문한 하남시 베트남 시장개척단이 하노이 수출상담회에서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하남시]
베스앤스킨웍스는 베트남 바이어가 국내 사무실과 공장을 면밀히 살펴본 만큼 2만 달러 규모의 제품 발주를 눈앞에 두고 있다. 베스앤스킨웍스과 베트남 바이어는 현지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까지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 지속적인 수출 성과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시는 이처럼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던 핵심 포인트로 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구체적인 해외 시장개척단 활동을 꼽는다. 앞서 시는 지난 2022년 10월 체결한 KOTRA와의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2023년부터 KOTRA와 연계한 해외 시장개척단을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는 관내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시장개척단이 방문할 국가를 선정하기 위한 사전 수요조사를 실시하는 등 준비를 철저히 했다.

아울러 기업과 베트남 현지 바이어 간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장개척단 파견 전 기업과 제품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해 교감의 폭을 넓힌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공 요인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KOTRA와 함께하는 사전설명회와 사전간담회 등을 진행하며 기업의 제품 수출 역량을 높인 점도 주효했다.

이번에 베트남 시장개척단 활동을 앞두고 KOTRA 무역관에서 주최한 현지 사전간담회가 진행됐는데, 이곳에서 베트남 현지의 시장 정보를 안내하고 수출 전략을 최종 점검하면서 참여 기업의 역량이 크게 강화됐다.

이현재 시장은 “기업 수출의 가장 큰 어려움인 해외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22년 KOTRA와의 적극적인 업무 협력 체계를 구축한 것이 구체적인 성과로 나타나 매우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우리시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기반한 ‘기업하기 좋은 도시 하남’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탄소중립 위한 ‘종이 없는 사무실’ 조성 추진
경기 하남시는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스마트한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종이구입량 45% 감축을 목표로 ‘종이 없는 사무실’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시는 회의 진행 시 회의자료 출력 대신 공용 태블릿PC를 활용하는 등의 ‘노 페이퍼’(No Paper) 캠페인을 시청 전반에 실현해 연간 종이구입량을 최근 3개년(2021~2023년) 평균인 약 1233만장에서 2024년 950만장, 2025년 674만장으로 단계적으로 감축한다.

‘종이 없는 사무실’ 운영은 공공부문의 주체적인 에너지 절약과 사무실 내 지속적인 탄소배출 저감 환경을 조성하고자 추진됐다.

앞서 시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공직사회에서 종이 사용 줄이기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2023년 방문 특강 이후 간부회의를 종이 없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이번에 이를 시청 전반으로 확장하는 ‘종이 없는 사무실’로 발전시켰다.

환경부 자료 등에 따르면 A4용지 한 장을 생산하고 인쇄하는 데에는 총 24.48g(생산 2.88g+인쇄 21.6g)의 탄소가 배출되고, 10ℓ의 물이 소비된다.

이를 하남시의 연간 종이구입량으로 환산하면 최근 3개년 평균(1233만장)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간 약 302톤, 물 소비는 약 19만톤으로 집계된다.

시는 이를 단계적으로 감축해 2024년(950만장)·2025년(674만장) 2년간 이산화탄소는 약 206톤, 물 소비는 약 13만톤을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종이와 토너 등 사무용품 구입비용 절감을 통해 예산 절약 효과도 부수적으로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 과제로 △종이 없는 회의 확대 △종이 없는 보고 시행 △종이 절약 문화 실천 △전산장비 구입 및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관리 등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종이 없는 회의를 확대하기 위해 회의자료 사전 공유 및 공용 태블릿PC를 활용하고, 종이 없는 보고를 시행하기 위해 간단한 사항은 구두보고·업무 메신저·업무관리시스템의 메모 보고 등을 활용한다.

종이 절약 문화를 실천하기 위해 종이 책자 대신 전자책자 제작·배포 및 행정정보 공동이용시스템 이용을 통해 종이 사용을 줄인다. 부득이하게 종이를 인쇄할 시 흑백·양면 및 2쪽 모아찍기로 인쇄하고, 잉크를 절약하는 에코폰트 이용 할 수 있도록 홍보 활동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태블릿PC 등 전산장비를 순차적으로 구입·보급하고, 성과관리를 위해 종이와 토너 사용량을 분기별로 관리해 직원들의 경각심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우리시는 친환경 행정 문화를 선도하고, 디지털화된 업무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여나가기 위해 ‘종이 없는 사무실’ 정책을 추진하게 됐다”라며 “하남시는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통해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