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블루오션 아프리카] 尹 "인프라 분야 한·아프리카 협력 무궁무진"

2024-06-03 00:00
AFP통신, 정상회의 개최 관련 서면 인터뷰 게재
"韓, 원료 광물 95% 수입…포괄적 협력 기반 마련"
"개도국서 선진국으로 발전하며 쌓은 경험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줄리어스 마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환담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외신을 통해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과 아프리카 기업 간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선진국으로 발전한 경험을 제공해 인프라 구축에 이바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AFP통신은 '윤석열 대통령, 광물과 통상에 관심을 두고 아프리카와 정상회의 개최(S. Korean president to host Africa summit eyeing minerals, trade)'란 제하의 윤 대통령 서면 인터뷰 기사를 게재했다.

우선 윤 대통령은 한국이 첨단 산업에서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핵심 광물 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아프리카 국가와 무역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은 첨단 산업 제조 강국이지만 원료 광물 중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통해) 핵심 광물 관련 정보교류, 기술 협력, 공동 탐사 등 포괄적 협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프리카의 중요성에 비해 양측 간 교역 규모는 한국의 총 교역 규모 가운데 1.9%에 그치고 있다"면서 "(전반적으로 통상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양측 기업 간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해당 기사는 "한국은 세계 최대 하이테크 반도체 생산국 중 하나"라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제조업체들을 소개했고 "코발트에서 백금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 국가들은 반도체 산업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핵심 광물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사는 한국이 독재 국가에서 민주주의 국가로, 전쟁 이후 피폐한 국가에서 아시아 4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고 언급했고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이러한 경험을 아프리카에 전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한국이 반세기 만에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하면서 쌓은 경험을 아프리카에 제공할 수 있다"며 "특히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아울러 "인프라 분야 전반에 걸쳐 양측이 협력 가능한 사업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한 사업에는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인프라 건설부터 스마트 교통 등 스마트시티 시스템, 마스터플랜 수립 등이 포함된다"고 부연했다. 

이 밖에도 기사는 한국 새마을운동이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 경제 개발에 모범 사례라는 점, 한국 기업이 건설한 카중굴라 대교 덕분에 잠비아와 보츠와나를 오가는 물류 시간이 2주에서 2시간으로 단축된 사례 등을 소개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4일 개최되는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48개국 중 25개국과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정상회의를 공동으로 주재하는 모리타니를 비롯해 시에라리온,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등 4개국은 공식 방한국이며, 윤 대통령은 이들 국가 정상과 오찬·만찬이 포함된 정상회담을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