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기업인 만나 '신에너지' 과잉투자 경고"...美·EU 압박 여파?

2024-05-28 18:05
시 주석, 23일 재계 인사 만나 "3대 산업에만 집중해선 안 돼"

22일(현지시간) 중국 산둥성 르자오 항구의 녹색에너지 개발 상황을 시찰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EPA·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유럽 등 기업과 경쟁 중인 업체 임원 및 경제학자와 만남에서 신에너지 분야에 대한 과잉투자를 경고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23일 산둥성 지난시에서 해외 투자사들과 기술 스타트업, 국내외 경제계 인사들이 참석한 좌담회에서 "신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투자는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며 이같이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이날 중국의 '새로운 3대 수출품'으로 불리는 전기차, 리튬이온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에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해당 분야에 쏠린 지원이 현지 상황에 맞춰 조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발언은 대외적으로 미국이 전기차, 배터리, 철강 등 부문에서 관세를 급격히 올리고, G7(주요 7개국) 재무장관이 최근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를 언급하는 등 서방국의 견제가 거세지는 분위기에서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중국은 서방의 '과잉생산' 우려에 대해 '보호무역주의'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소속 장빈 연구원이 국내 경쟁과 물가 하락을 거론하자, 시 주석은 "회사가 설립된 지 몇 년 안에 망한다면 현대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생산력의 육성은 지속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며 "기업 자체가 내부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답했다고 SCMP는 전했다.

아울러 중국 지방정부는 전기차 등 신에너지 3대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했으나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이 아닌, 하위 단계 제품에만 머물렀다고 SCMP는 지적했다.

시 주석은 경쟁력 강화 필요성을 위해 본인이 지방 관료로 근무했던 시절 민간 의류 회사가 글로벌 자체 브랜드로 성장했던 경험을 회상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전했다.

한편 시 주석은 국영 산둥항만그룹을 모범 사례로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기업은 외국 기술 대신 자체 기술로 항만과 컨테이너 터미널을 자동화해 시 주석의 칭찬을 받았다고 신화통신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