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조직개편 단행…한반도평화교섭본부→외교전략정보본부로 확대

2024-05-28 09:50
한반도 업무조직, 국장급으로 축소…외교정보기획국 신설
인태전략과·경제안보외교과 신설…지역국 체제 정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위치한 외교부 [사진=유대길 기자]
 
외교부가 북핵 협상을 담당하던 '한반도평화교섭본부'에 정보분석 조직을 추가해 '외교전략정보본부'로 확대하는 등 조직개편을 28일 단행했다.

개정된 외교부 직제 규정에 따르면, 기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에서 확대 개편된 외교전략정보본부는 그 산하에 외교전략기획국·외교정보기획국·한반도정책국·국제안보국 등 4개국을 뒀다. 이를 통해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과 지정학적 환경변화에 대응해 보다 기민하고 정교한 시각에서 우리 외교정책을 펼친다는 구상이다. 

이번에 신설된 외교정보기획국은 전 세계 정보 수집·분석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주요 정책결정자에게 적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민간단체의 활동에도 도움되는 정보서비스 제공 단계까지 발전할 계획이다. 외교전략기획국 안에는 한국 최초의 포괄적 지역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의 이행을 총괄·점검하는 전담조직으로서 인태전략과가 신설됐다. 한반도정책국은 과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의 업무를 이어받았다. '2국 4과' 체제였던 차관급 조직인 한반도평화교섭본부가 '1국 3과' 국장급 조직으로 축소된 것이다.

외교부는 한반도 업무 조직에 대해 "흔들림 없는 북한 비핵화 정책을 견지하는 가운데 북한 인권·탈북민 지원 등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업무 수행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재편했다"고 설명했다. 

또 그간 부내 산재돼 있던 국제안보 업무를 국제안보국으로 일원화했다. 이 밖에도 기존 다자외교조정관은 글로벌다자외교조정관으로, 원자력 업무의 중요성을 감안해 국제기구국을 국제기구·원자력국으로 각각 개편했다.

개발협력국에는 개발협력정책관을 신설해 개발협력 업무와 관련한 국제협력과 부처 간 협업을 제도적으로 강화했다. 또 경제안보 외교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담부서로 경제안보외교과도 신설했다.

아울러 동북아시아국을 동북·중앙아시아국으로 재편하고 산하에 중앙아시아과를 설치하는 지역국 체제 개편도 단행했다.

외교부는 "정부 효율화 기조 아래 기존 조직을 재정비하고 필요한 분야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며 "정부의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을 더 효과적으로 실현하고 급변하는 국제 환경 속에서 복합적인 도전 과제에 보다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