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정상회의 26~27일 서울 개최…대통령실 "3국 협력 정상화 분기점"

2024-05-23 16:41
정부, 회의 앞서 일·중에 인적 교류 등 6대 중점 협력 분야 제시
첫 UAE 현직 대통령 방한·한-아프리카 정상회의도 성사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일·중 정상회의 등 외교일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일·중 정상이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제8차 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에 다시 한자리에 모인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5월 26일부터 27일까지 1박 2일간 서울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첫째 날인 26일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와의 한·중 정상회담,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이 연달아 개최된다. 같은 날 3국 대표단과 경제계 인사 약 80명이 참석하는 공식 환영 만찬 시간도 갖는다.

둘째 날인 27일에는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진행된다. 이어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리창 총리는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서 각각 연설할 예정이다.

김 차장은 "이번 정상회의는 세 나라가 3국 협력 체제를 완전히 복원하고 정상화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3국 국민들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의 모멘텀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회의 준비 과정에서 국민 실생활과의 연관성, 3국 간 실제 협력 수요를 고려해 △인적 교류 △기후 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 통상 협력 △보건·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안전 협력 등 6대 중점 협력 분야를 일본과 중국 측에 제시했다.

한편 김 차장은 오는 28일부터 양일간 이뤄지는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의 국빈 방문과 다음 달 4~5일 개최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일정도 설명했다.

김 차장은 "이번 국빈 방문은 무함마드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이자 UAE 현직 대통령의 최초 방한"이라며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전통적 에너지와 청정에너지, 평화적 원자력 에너지, 경제와 투자, 국방과 국방 기술 등 4가지 핵심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더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또한 한·아프리카 정상회담과 관련 "우리나라가 최초로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개최하는 다자 정상회의"라며 "45개국 이상의 대표단이 방한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윤석열 정부 출범 이래 최대 규모의 다자 정상회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