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더 덥다…정부, 취약계층 폭염 피해 보호책 강화

2024-05-16 12:00
농업인 행복콜센터·지역자율방재단 등 활용해
작업장 예방수칙 이행 점검…공사 정지 권고도
노인·질환자엔 에너지바우처 지급…순찰도 강화

박형배 행정안전부 자연재난대응국장이 지난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회의실에서 2024년 여름철 자연재난(풍수해·폭염) 종합대책 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올여름에는 그 어느 때보다 무더위가 심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가 폭염 취약계층 보호 대책을 강화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여름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설명회를 열어 재난에 가장 먼저 노출되는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재난 위험성과 비상시 행동요령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1년 중 폭염이 발생한 날은 2000년 약 11일에서 지난해 14일로 증가했다. 연대별 폭염 발생 시작일도 앞당겨지는 추세다. 온열 질환자 수도 2818명으로 전년보다 1254명이나 증가했으며 그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행안부는 폭염 피해에 취약한 농어업인, 현장 근로자, 노인·노숙인 등 보호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농업인 행복콜센터’를 활용해 고령 농업인을 대상으로 행동요령을 알리고 지역자율방재단 등 폭염 피해 방지를 위한 예찰을 실시한다. 지역자율방재단은 지역을 잘 알고 있는 주민들이 재난 예방·대비·대응·복구 전 단계에서 주민 안전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다.
 
고령 어업인과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는 예찰을 강화한다. 전국 20개 어선안전조업국을 중심으로 주요 항·포구 어선을 방문해 피해 예방을 안내한다.
 
또 현장 근로자의 폭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더위에 직접 노출되는 실외작업장의 온열질환 예방수칙 이행, 보냉장비 지급, 무더운 시간대 작업 조정 등 여부를 지도하고 점검한다.
 
폭염 심각 단계가 발령됐을 때 발주처에서 공사를 일시 정지하도록 권고하거나 계약기간 연장, 금액 조정 등 조치사항도 안내한다.
 
여름철 기간엔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질환자 등을 포함에 약 126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를 지급하는 등 사회·경제적 취약 계층에 대한 보호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부터는 전국 경로당 냉방비 지원 단가가 인상됐다. 올해 지원 단가는 16만5000원으로 지난해보다 5만원 올랐다.
 
노숙인·쪽방주민 보호를 위한 거리순찰반도 운영된다. 또 생활지원사가 전화, 방문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취약노인 안전을 확인한다.
 
이 밖에 폭염 피해 감소를 위한 기반도 마련한다. 그늘막 등 폭염 저감 시설 설치를 위한 폭염 대책 예산을 지원한다. 전국 무더위 쉼터 6만1000개를 지정·운영하고 이동노동자 쉼터 등을 활발히 이용하도록 기업과 협력해 홍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한 생활수칙 등 홍보를 강화한다. 언론 홍보는 물론 폭염주의보 기준인 체감온도 33도에 국민들이 취해야 하는 행동을 ‘삼삼주의!’라는 친근한 표어를 활용해 캠페인도 벌인다.
 
온열질환으로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을 때엔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온열질환자는 농업인안전보험을 활용해 농작업 중 발생한 온열질환 치료비를 보상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