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영미 질병청장 "2027년까지 국산 코로나 mRNA 백신 개발"

2024-05-14 16:19
"임상 3상까지 기업들 연구 지원"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를 100일, 200일 안에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mRNA 백신 기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이효정 기자]

정부가 향후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2027년까지 국산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한다.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지원단을 구성해 실제 상품화까지 가도록 임상 3상까지 기업들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팬데믹 발생 주기가 짧아지고 있고, 다음 팬데믹이 언제 발생할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를 100일, 200일 안에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mRNA 백신 기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와 동일한 스파이크(돌기) 단백질이 체내 세포 표면에 돋아나도록 하는 mRNA를 주입해 면역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모더나, 화이자 백신 등이 대표적으로 코로나19 사태에서 차세대 백신 기술로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해 전달체(LNP), 항원 최적화 등 ‘5대 핵심 기술’을 보유한 유망기업을 중심으로 내년부터 2027년까지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한다.

국산 mRNA 백신 기술 확보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부연 설명도 이어졌다.

지 청장은 “현재 국산 백신이 부재해 매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해야 하는 코로나 백신에 연간 몇천억씩 들어가고 있다”면서 “향후에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백신 구매는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 2020~2023년 해외 백신 기업에 7조6000억원을 투입했다.

신종감염병의 특성인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mRNA 백신이 필요하다는 게 질병청의 설명이다. mRNA 백신은 항원만 바꾸면 신속하게 변이에 따른 새로운 백신을 만들 수 있어서다.

마지막으로 지 청장은 “미래 팬데믹 해결의 ‘핵심 열쇠’가 될 mRNA 기술을 확보한다면, 팬데믹 상황에서 더 이상 해외 제약사의 도움 없이도 우리 국민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