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보다 시세차익이 더 좋아"…개인투자자, 저가매수에 베팅

2024-04-18 06:00
지난해 상장사 역대급 배당에도
투자심리 배당락 종목으로 몰려
업황 악화 네이버 가장 많이 매수

 
투자자들의 주주환원 요구에 상장사들이 역대급 배당에 나섰지만 개인투자자들은 배당주 매수 대신 배당락 이후 저가 매수에 나서며 '거꾸로 투자'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가 17일 발표한 유가증권시장 현금배당 법인의 배당 성향과 주가등락률 현황에 따르면 2023년 보통주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최근 5년 내 가장 높은 2.72%를 기록했다. 코스피 우선주 평균 시가배당률 역시 3.43%로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였다. 코스닥시장 보통주의 평균 시가배당률도 1.97%로 2016년 이후 최고치였다.

시가배당률이란 1주당 배당금을 현재 시가로 나눈 값이다. 기준 주가에 따라 시가배당률 값이 변한다. 연말 배당기준일 주가가 10만원일 때 1만원을 배당하면 시가배당률은 10%, 2만원을 배당하면 20%가 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시중 금리와 채권 수익률과 비교할 때 주로 사용된다. 

코스피, 코스닥 시가배당률이 최근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국고채 수익률에는 못 미쳤다. 기준금리 인상 등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국고채 수익률이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은 3.53%로 보통주보다 0.81%포인트(p), 우선주보다 0.1%p 높았다. 코스피 시가배당률은 지난해 12월 기준 예금은행의 저축성 예금 금리인 연 3.85%도 밑돌았다.

시가배당률이 높은 상장사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낮았다. 업종별로 시가배당률을 살펴보면 2023년 전기가스업 4.01%, 금융업 3.82%, 통신업 3.60% 순으로 높았다. 연말에 다가갈수록 배당주에 대한 매수세가 강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개인은 지난해 12월 금융업종을 7324억원어치 순매도했고 통신업과 전기가스업도 각각 956억원, 597억원을 순매도했다.

종목별로 살펴봐도 개인투자자의 관심은 저조하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12월 결산 법인 가운데 시가배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예스코홀딩스다. 지난해 총 87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하면서 시가배당률은 25.8%로 나타났다. 개인이 12월 한 달 간 순매수한 규모는 2억1300만원에 그친다. 다만 그동안 주가가 오르지 않아 시가배당률이 높은 경우가 있어 시가배당률만으로는 투자를 판단하기엔 한계가 있긴 하다.

배당 규모와 배당을 실시한 곳도 늘었다. 코스피 상장사의 총 배당금은 27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000억원(3.3%) 증가했다.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배당금은 5%가량 줄었지만 배당을 실시한 법인은 607개사, 5년 연속 배당한 법인도 389개사로 역대 최대였다.

그러나 고배당주보단 시세차익을 볼 수 있는 종목에 개인 투자심리가 몰리고 있다. 지난 1월 금융위원회와 법무부의 배당절차 개선으로 '선(先) 배당금 확정·후(後) 배당기준일 확정'이 가능해지면서 배당기준일을 3월 말 전후로 바뀐 기업도 늘었지만 주가가 떨어진 종목 위주로 사들이며 저가 매수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개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올해 들어 가장 많이 사들인 주식은 1조5239억원을 순매수한 네이버다. 올해 20% 가까이 떨어진 종목이기도 하다. 이어 삼성SDI 9114억원, LG화학 6730억원, SK이노베이션 3846억원을 순매수했다. 모두 업황 악화에 주가가 부진한 성장주, 이차전지주다.

반면 개인은 대표적인 배당주는 대거 팔았다. 개인 순매도 순위는 삼성전자 -4조1077억원, 현대차 -2조6079억원, 삼성전자우선주 -1조2231억원 순으로 높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외국인 순매수가 몰리면서 이들 종목의 주가가 뛰자 팔아 치우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