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업계에도 '가격 표시제' 새 바람...'스드메' 가격 거품 사라지나

2024-03-14 09:54
정부, 결혼 비용 절감 나섰다
예식장 대관비 등 '참가격'에 공개...공공예식장도 늘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올해 결혼을 계획한 30세 직장인 여성 김모씨는 예식장을 찾기 위해 온라인 검색을 시도했다. 결혼이 급하지 않은 만큼 시간을 넉넉히 두고, 하객들이 불편하지 않을 만한 예식장이 어딘지 비교해 보려 한 것이다. 마음에 드는 예식장 몇 군데에 전화를 해봤지만, 예약 현황이나 대관비를 알려주는 곳은 없었다. 상담 예약부터 잡고 상담을 진행하며 들으라는 식이었다. 김씨가 상담을 잡을 수 있는 날짜는 모두 몇 달 뒤였다. 결국 김씨는 짬을 내어 모두 직접 방문, 올해 12월에야 웨딩홀을 예약할 수 있었다. 

웨딩업계 관행으로 김씨와 같은 이들이 증가하자 정부가 드디어 두 손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정부는 예식장과 일명 '스드메'(스튜디오·촬영 드레스·메이크업) 등 결혼 서비스 가격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13일 '청년 친화 서비스 발전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스튜디오 사진 촬영, 드레스 대여, 예식장 대관 등 결혼 서비스 가격 정보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사이트 '참가격'에 공개하게 했다. 

또 결혼 서비스 업체가 의무적으로 가격을 표시하도록 하는 '가격표시제'를 올해 말까지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지난 2020년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웨딩홀 홈페이지에 상품별로 세부 가격을 표시한 웨딩홀은 약 8%밖에 되지 않았다. 

정부는 또한 과도한 위약금 등으로 계약 관련 소비자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결혼준비대행(웨딩플래너) 분야에 대해서도 서비스 표준약관을 만들 계획이다. 

2021년부터 지난해 4월까지 소비자원에 접수된 결혼준비대행 관련 피해구제 신청 361건 중 93.6%인 338건이 계약 관련 피해였다. 

오는 2026년부터는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소비자 피해 사례 등 결혼 서비스 산업 현황에 대해 정기 실태조사도 진행한다.

여기에 신랑 신부의 결혼 비용 절감을 돕기 위해 미술관, 박물관 등 공공시설을 예식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120개 공공시설을 예식장 용도로 개방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하기로 했다. 

새롭게 개방되는 시설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서초 국립중앙도서관, 국립현대미술관(경기 과천), 국립민속박물관(서울 종로), 관세인재개발원(충남 천안), 중앙교육연수원(대구 동구) 등이다.

공공예식장은 서울시 기준 하객 100명에 예식비 900~1300만원 수준으로 민간 예식장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일반 예식장과 다른, 자연 야외 공간이거나 청년들이 맞춤형으로 공간을 꾸밀 수 있는 기관 위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