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사직' 전공의, 오늘 병원 떠났다 ··· 빅5 수술 일정 '반토막'
2024-02-20 08:01
전공의 비율 30~40% 높아, '의료 공백' 위기감 고조
병원, 응급·중증 진료 위주로 전환
정부, 군병원 응급실 일반인에 개방··· 공공병원 진료 연장
병원, 응급·중증 진료 위주로 전환
정부, 군병원 응급실 일반인에 개방··· 공공병원 진료 연장
의료 현장에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빅5’ 병원 전공의 이탈이 20일 본격화하면서다. 각 병원은 비상 진료 대책을 마련해 환자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미 일부 환자는 수술 일정이 연기되는 등 피해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의료 대란’을 막는 데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전공의들에게 진료 유지 명령을 내렸으며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대비해 공공 의료기관과 군 병원을 총동원하고 필요시에는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키로 했다.
◆ “돌아갈 생각 없다” 전공의 ‘집단 사직’ 줄이어
서울성모병원 역시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 현황을 고려해 진료과별로 전공의 규모에 따라 입원, 수술 일자 등을 조정할 예정이다. 서울대병원도 전공의 이탈로 인한 진료 공백에 대비한다. 이에 따라 진료과별로 환자의 중증도 등을 고려해 입원·수술 일정 연기 등을 진행 중이다.
‘빅5’ 병원 관계자는 “당장은 교수들과 전임의들이 전공의 당직 등 자리를 메울 것으로 보인다”면서 “수술이나 입원 일정을 조정하는 사례가 많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 주요 상급종합병원 5곳(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전공의 수는 2745명으로 5개 병원 전체 의사 인력 7042명 중 39%에 달한다.
의사 인력 중 전공의 비율은 서울대병원(46.2%), 세브란스병원(40.2%), 삼성서울병원(38.0%), 서울아산병원(34.5%), 서울성모병원(33.8%) 순이다. 의사 인력 중 34∼46%가 전공의로 채워진 탓에 이들이 한꺼번에 근무를 중단하면 여파가 클 수밖에 없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빅5 병원은 전공의 비율이 30∼40% 정도여서 일시에 빠져나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응급과 중증진료 위주로 전환하도록 했다”며 “인력 운영을 탄력적으로 하고 장기화 시 외부에서 필요한 인력도 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의료 대란’ 막아라”··· 정부, 비상진료체계 운영
정부는 ‘의료대란’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19일 전체 수련병원에 ‘진료 유지 명령’을 내린 가운데 공공 의료기관과 군 병원을 총동원하고 필요시 비대면 진료도 전면 허용한다.
우선 소방청과 협의해 꼭 필요한 중증·응급환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대형 병원으로, 경증·비응급 환자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나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하기로 했다. 지방 의료원, 근로복지공단 산하 병원 등 공공보건의료기관 97곳을 중심으로 평일 진료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 진료도 실시하기로 했다. 국군병원 12곳 응급실을 일반인에게 개방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이처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하는 한편 의사 집단행동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을 때 정부가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록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19일부터 운영한다.
의사 집단행동으로 인해 중증·응급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피해를 입었을 때는 국번 없이 129번으로 전화하면 피해 사례 상담뿐 아니라 법률구조공단과 연계해 소송에 대한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의사 집단행동 상황이 장기화하면 병원급을 포함한 모든 종별 의료기관에서 초진과 재진 환자 관계없이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이와 관련해 “상급종합병원은 중증과 응급 환자 위주로 맡고, 경증 환자 등을 종합병원과 같은 2차 병원에서 맡게 되면 외래 진료 수요가 많아질 수 있어 이때 비대면 진료를 허용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