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관광 판갈이 시급] '큰 손' 유커 옛말, '구두쇠' 료캬쿠만 북적..."여행 질 높여야"

2024-02-19 05:00

관광객들이 명동 거리를 걷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인들이 지난해부터 해외여행에 활발히 나서고 반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는 완만한 회복세 속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고 있다. 정부가 방한 관광객 확대를 위해 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추진 중이지만 접근방식에 있어서 기시감이 든다는 지적이 높다. 때문에 정부가 K-관광 현실과 지향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는 최근 2024년 경제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올해 연간 방한관광객 목표치를 2000만명으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한국 방문객 1100만 명을 900만명 가량 웃도는 수치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당장 국내 최대 관광 소비국이던 중국이 경기 침체 등 악재에 직면해 있다. 코로나 이전만 하더라도 중국발 여행수입이 국내 여행수입의 43%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지만 중국 관광객 회복세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전날 진행한 경제전망 수정 발표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회복 속도가 상당히 안 좋은 그런 상황"이라며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중국 경기가 안 좋은 부분도 거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하늘길이 막혀있는 동안 중국인들의 여행 트렌드가 바뀐 점도 영향을 미쳤다. 과거 막강한 인구 수와 소비력을 앞세운 단체관광(유커, 遊客)이 주를 이뤘다면 최근 들어서는 개인관광객(싼커, 散客)이 대세가 됐고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물건을 대신 구입해주는 중국 보따리상인 다이궁도 눈에 띄게 줄었다. 반면 중국의 20~30대 젊은 층으로 이뤄진 싼커는 가성비 소비와 여행을 지향해 소비 지출액도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사이 중국 대신 일본 관광객 수가 국내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추세지만 이마저도 엔저 상황 속 일본으로 떠나는 한국 관광객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한국인에게 낮아진 '엔저' 환율은 일본인 관광객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여지가 커서다. 한국은행 동경사무소가 지난달 중순 발표한 현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수는 약 70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작년 연간 일본 방한객 수(232만명)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우리 정부도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방한관광객 유입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해외 관광객들의 달라진 눈높이에도 정부 대책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비판이 높다. 기획재정부는 방한관광객 확대 일환으로 중국 단체관광 비자 수수료 면제 조치를 연장하고 면제 대상 국가도 단체관광 비자발급 국가 전체로 확대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지난해 9월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중국인 방한 관광 활성화 방안'에 담긴 내용을 확대·연장하는 수준에 그친다.

관광객 편의 제고 대책에서도 기시감이 느껴진다. 정부는 방한 관광객들의 편의 제고를 위해 제로페이와 해외결제사 연동, 외국인 부가세 환급 숙박유형 확대 등 결제 편의와 면세를 위한 내용들을 올해 경제정책방향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 역시 앞서 발표된 대책들을 강화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도 지난해 5월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마련된 '외국인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과 비슷한 수준이다. 외국인 단체여행이 소규모되는 추세를 반영해 맞춤형 관광 교통수단과 서비스를 확충하겠다는 내용 정도만 새로운 정책으로 눈에 띄는 정도다.

전문가들은 외국인들의 한국 방문과 관광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K-팝(pop)과 K-푸드(Food) 등 한국이 보유한 특화 문화콘텐츠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방한관광객들이 한국에 오래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을 적극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법이나 제도를 완화하거나 부가세 감면 등을 통해 관광을 촉진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부가세를 환급받기 위해 한국을 찾는 관광객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면서 "서울 뿐 아니라 주요 광역도시에서도 K-pop 콘서트를 진행해 방한 수요를 확대하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대부분이 서울에 머무는 만큼 한국을 새롭게 접근하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단순히 '한국에 오라'는 정책이 아닌 각 도시별 특화 마케팅이 필요한 것"이라면서 "외국인 관광객을 전국구로 넓힐 전략과 제도적인 부분을 합친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실제 외국인관광객 확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